
경실련은 이번 질의서 발신이 해체가 마땅한 전경련에 대해 회원사들의 분명한 행동을 촉구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0여년의 역사 속에서 정경유착 고리를 끊지 못한 전경련에 대해 회원사들이 거부의사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경실련 관계자는 “지난달 6일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이재용닫기

최근 쇄신안 마련에 몰두 중인 전경련에 대해서도 ‘해체’가 정답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현재 전경련은 쇄신안 마련을 위해 비즈니스테이블, 해리티지 재단 등 다양한 방안을 고심 중이다. 오는 12일 열리는 2017년 첫 회장단 회의에서 이 같은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경실련 관계자는 “해리티지 재단 등 다양한 쇄신안 논의를 떠나서 우선 전경련은 해체를 선언해야 한다”며 “전경련이 해체돼야 하는 이유는 정경유착 고리로서 시장 질서를 어지럽게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전경련의 역할은 대한상의가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며 “전경련의 존재로 그간 소통창구가 이원화됐지만, 대한상의를 통해 재계를 비롯해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는 12일 개최되는 전경련의 올해 첫 회장단 회의는 김이 빠질 전망이다. 대부분의 주요그룹이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월 임기가 만료되는 허창수 회장(GS그룹 회장)의 차기 주자도 구하기 힘든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등이 차기 회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