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이들은 정말 피해자일까? 꼭 그렇게 만은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검찰 발표 이후 현대차와 포스코 측에서 나온 발언들을 보면 피해자인지 동조자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우선 현대차는 최씨 딸인 정유라씨 초등학교 동창 부모 이씨가 운영하는 KD코퍼레이션에게 11억원 규모의 납품을 강요받았다는 검찰 발표에 대해 “KD코퍼레이션 생산 제품이 기존 제품 대비 24%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었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연합뉴스를 비롯한 많은 언론에서 현대차 고위 관계자가 이 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참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발언이다. 검찰에서는 최씨와 안 전 수석의 강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고 발표했는데 현대차는 효율적인 측면이 고려했다고 말한 꼴이다. 피해자가 아니라 자신들의 선택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사태의 본질이 국정농단에 따른 ‘정경유착’에 있다는 점에서 보면 과연 현대차가 검찰의 발표대로 피해자인가라는 의문이 든다.
포스코의 경우 현재 수장인 권오준닫기

문제는 권오준 회장 선임에도 청와대가 조 전 수석을 통해 개입했다는 정황이 나오고 있고, 권 회장이 지난 2014년 포레카 매각 과정에서 최씨의 측근인 차은택씨에게 이권을 주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포스코는 최씨와 청와대 수석들에게 강압적인 요구만 받았다는 언급만 나왔다. 권 회장이 취임 이후 ‘최씨 일가’에게 어떤 태도로 포레카 매각 등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당시 어떻게 대처했는지는 아무런 답변이 없었다. 이 같은 검찰 발표로 인해 포스코가 피해자인지 동조자인지 객관적으로 파악하기는 한계가 있다.
당연히 이번 검찰의 중간 수사 발표는 현재 대한민국 권력 1순위가 누구인지 확인시켰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검찰이 현대차·포스코·롯데그룹 등 재벌 총수들을 일방적인 ‘피해자’로 규정하면서 2016년 11월 현재 대한민국 권력 1순위가 ‘재벌 총수’로 바뀌었다는 것을 확인시켰다.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국민적 공분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향후 검찰이 제기되고 있는 의혹들을 명확하게 해소, 재벌들이 ‘피해자인지 동조자인지’를 정확하게 밝혀주길 바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