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이 부회장은 26일 오전 9시30분 검찰에 출석 예정이었으나 이날 오전 7시 10분경 경기 양평의 한 산책로에서 쓰러져 사망한 채 발견됐다.
검찰은 롯데 정책본부가 총수일가의 자산관리를 비롯, 계열사 간 거래 등을 도맡아 온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신동빈 회장의 최측근 3인방을 통해 비자금의 실체를 규명할 계획이었다.
앞서 검찰은 신 회장의 ‘가신’ 으로 꼽히는 황각규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소진세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을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황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 사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며 신 회장 일가의 비자금 조성 및 계열사간 부당 거래에 대해 추궁했다. 그러나 이들은 “비자금 조성 사실이 없다” 며 관련 내용을 부인했다.
때문에 이 부회장은 롯데 총수일가의 비자금 조성 혐의를 밝혀내기 위한 ‘키맨’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부회장은 롯데 총수 일가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직위에 오른 그룹의 2인자로, 그룹의 전반적인 살림과 핵심 사업을 관장했다.
1973년 롯데호텔에 입사해 롯데와 인연을 맺은 그는 2007년 롯데 정책본부에서 정책본부 부본부장 직책을 맡았으며, 이후 2011년 인사에서 부회장 승진과 함께 본부장이 됐다.
당초 신격호닫기

검찰은 신 총괄회장이 사실혼 관계인 서미경 씨 모녀에 재산을 증여하는 과정에서 정책본부가 관여한 혐의가 있는지를 수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6000억 원대의 조세포탈이 발생했다는 의혹이다.
검찰은 계열사들을 동원한 롯데피에스넷의 유상증자과정에도 정책본부가 개입했다고 보고 있다. 롯데건설의 500억 원 규모의 비자금 조성, 롯데케미칼의 200억 원대 비자금 조성 의혹에도 정책본부가 깊이 관여했다는 의혹이다.
검찰은 롯데그룹 수사가 7부 능선을 넘었으며, 추석 전 완료될 것이라 자평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의 죽음을 통해 롯데의 비자금 조성 및 계열사 간 부당거래 규명의 수사 동력이 약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 상황이다.
이 부회장을 추궁할 수 없게 되면서 신 회장과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의 검찰 소환 일정은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당초 검찰은 가신 3인방의 진술을 받은 후 이르면 29일 신 전 부회장을, 이어 31일 신 회장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었다.
검찰은 26일 이 부회장에 대한 애도를 표하고 “롯데그룹에 대한 수사 일정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