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KB국민은행

이날(4일) 7월 정기 조회사에서 윤종규 KB국민은행장은 "KB의 인력구조에는 한국 사회의 고령화 현상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며 "KB의 임금피크 모델이 저성장시대를 극복하는 상생의 지혜가 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말했다.
성과주의에서 팀성과와 함께 개인성과도 강조됐다. KB국민은행은 상반기 평가 과정부터 파트너십그룹(PG) 단위의 공동평가를 도입한 바 있다.
윤종규 KB국민은행장은 "성과주의는 개인성과도 일부 반영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부점성과만으로 모든 직원이 동일한 평가를 받게 된다면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 더욱 더 헌신하고 희생한 직원들이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밝혔다.
전사적인 영업 집중 전략도 강조됐다. 윤종규 KB국민은행장은 "은행과 그룹이 보유한 모든 인적 네트워크와 물적 역량을 신규고객 창출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제를 재정비해야 한다"며 "본부와 영업점, 은행과 계열사의 구분 없이 KB금융그룹 전체의 고객을 늘려 나가는 영업에 함께 힘을 모아야 하며 이제 막 한 식구가 된 현대증권과의 시너지 창출은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언급했다.
윤종규 KB국민은행장은 "치열한 경쟁의 레드오션이 된 저성장기의 금융시장에서는 고객과의 접점을 잃지 않기 위한 모든 노력을 강구해야한다"며 "모든 영업 활동은 단기적인 핵심성과지표(KPI) 득점을 위해서가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의 가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