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암재단은 이날 서울 중구 순화동 호암아트홀에서 제26회 호암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5개 부문별 수상자 6명에게 상을 전달했다.
올해 부문별 수상자는 △과학상 김명식 박사(54·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교수) △공학상 오준호 박사(62·한국과학기술원< KIAST> 교수) △의학상 래리 곽 박사(57·미국 시티오브호프병원 교수) △예술상 황동규 시인(78·서울대 명예교수) △사회봉사상 김현수(61)·조순실(59) 부부(들꽃청소년세상 공동대표) 등이다.
이들에게는 각 3억원의 상금과 순금 메달이 수여됐다.
수상자 선정은 이들의 업적을 국내외 분야별 저명 학자·전문가로 구성된 38명 규모의 심사위원회가 검토해 결정됐다. 또 저명한 해외 석학 36명으로 짜인 자문단이 평가하고 현장실사도 벌였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손병두닫기

이재용 부회장과 이부진닫기

호암재단은 시상식 전날인 지난달 31일 국내·해외 연구자 간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호암상 수상자와 노벨상 수상자 등 국제 석학과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제4회 호암포럼(공학·의학)’도 개최했다.
시상식 이후 식후 행사로는 해마다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만찬을 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올해에는 경기 용인 삼성전자 인재개발원에서 음악회를 여는 것으로 바뀌었다.
호암상 시상식과 그 식후 행사는 이건희 회장이 매년 손수 챙겨왔다는 점에서 올해부터는 이재용 부회장의 고유한 색이 입혀진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수상자와 그 가족, 삼성 임직원을 위한 음악회에서는 한국인 최초로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우승한 피아니스트 조성진씨, 실내악 그룹 ‘앙상블 오푸스’, 안숙선 명창 등이 무대에 선다.
또 삼성그룹이 후원하는 교육장학사업인 ‘삼성 드림클래스’ 소속 중학생 150여명도 초청됐다.
호암재단은 또 시상식을 전후해 호암상 수상자들의 수상 기념 강연회를 KAIST, 고려대, 대원외고, 전주고, 경기과학고 등 전국에서 총 9회 개최했다.
호암상은 호암 이병철의 인재 제일주의와 사회공익정신을 기려 학술·예술 및 사회 발전과 인류복지 증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사를 가려 시상하기 위해 1990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제정했다.
올해 26회까지 총 133명의 수상자를 배출했고 214억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