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 건설자금.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소액 PF(프로젝트 파이낸싱)를 이렇게 표현했다. 2011년 2월, 부산저축은행을 비롯한 상호저축은행 8곳 영업정지로 촉발된 '저축은행 사태'가 고위험 부동산 PF에 대한 적절한 리스크 관리 부재 때문이었다는 부담감이 작용한 것이다. 격랑 속에 살아남았더라도 업계에서는 여전히 쉽게 거론하지 못하는 금기어인 모양새였다. 5년이 지난 아직까지 저축은행 사태의 상흔은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신뢰도를 회복하려는 업계의 움직임은 이전보다 잰걸음이다. 지난해 12월 저축은행중앙회 17대 회장으로 선출된 이순우닫기

우리금융지주 회장 출신이기도한 이순우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지난 1월 28일 우리은행과 함께 포괄적인 업무제휴를 맺었다. 우리은행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상품 안에 저축은행 예·적금 운영,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실효성에 대한 논란도 있지만 특히 지주사나 그룹과 연결되지 않은 저축은행에서는 나쁘지 않다는 분위기이다.
이와 관련 저축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과 증권사 사이에서 저축은행은 (ISA 관련) 추세에 맞추는 수준"이라며 "비대면 제휴판매가 가능해서 수신창구가 필요없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의 움직임도 저축은행 업계에는 청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월 '10%대 중금리 신용대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 발표에 포함되었던 보증보험 연계 중금리 상품 출시와 관련, 지난 2일 저축은행중앙회·전국은행연합회·SGI서울보증이 손을 맞잡고 중금리 신용대출 활성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우량한 저축은행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자산 건전성 강화 기준에 따라 뜻밖의 역마진을 겪어야 했다"며 "저축은행은 시중은행에서 밀려난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위험하지만 서민금융기관 역할을 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