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재계에 따르면 그룹의 주력사인 현대상선은 3일 이사회를 열고 현 회장 등기이사 사임과 감자안을 18일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큰 이변이 없는 한 현 회장과 김명철 상무가 사내이사에서 물러나고 김정범 전무와 김충현 상무가 신임 등기이사로 선임된다.
이는 현 회장이 이사회 구성원으로 있으면 현대상선의 고강도 구조조정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현대그룹 측은 “현 회장이 당분간 경영권을 행사하지는 않겠지만 대주주로서의 책임은 다할 것”이라며 “현 회장이 회사 정상화를 위해 최근 300억원 규모의 사재를 출연하는 등 앞으로도 현대상선 회생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사회는 이날 7 대 1 감자도 결정했다. 액면가 5000원인 보통주와 우선주 7주를 1주로 병합하는 것이다.
회사 측은 “자본잠식률 50% 이상 상태가 2년 연속 발생하면 상장폐지 요건이기 때문에 주식 병합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말 기준 비지배 지분을 제외한 자본총계를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 36.8%로 50% 이상 자본잠식 상태다.
감자가 이뤄지면 현대상선은 자본잠식에서 벗어나지만 현 회장의 경영권 유지는 불가능하다. 현재 현대상선 1대주주는 현대엘리베이터(지분율 19.54%)며, 현대엘리베이터의 1대주주는 현 회장(지분율 8.7%)이다.
현 회장은 현대엘리베이터를 통해 현대상선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감자와 채권단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현대엘리베이터는 현대상선의 최대주주 지위를 채권단에 내줄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서는 현 회장이 등기이사직을 유지하는 게 의미가 없어 사퇴를 결정했다는 분석을 내고있다.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