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위인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을 합하면 ‘메인드 인 코리아’가 무려 전체의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작년 4분기 UHD 해상도 TV용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시장 규모는 1천125만8000대로 전분기(1152만9000대) 대비 2.4% 감소했다.
UHD TV 패널은 지난해 3분기에 첫 분기 1000만개를 돌파했다.
4분기 패널 출하량을 업체별로 보면 LG디스플레이는 전분기 대비 10.5% 증가한 398만8천대를 출하하면서 35%의 시장 점유율로 글로벌 1위에 올랐다.
지난해 1∼3분기 연속 1위였던 삼성디스플레이는 4분기 279만대를 출하해 25%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UHD TV 패널 출하량은 1분기 166만대, 2분기 330만대, 3분기 368만대 등으로 증가하다가 4분기에는 24% 감소했다.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 합계는 60%로 글로벌 UHD TV 10대 중 6대는 한국산 패널을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전체 TV 패널 시장에서는 중국과 대만의 추격세가 무섭지만 프리미엄급인 UHD TV 패널 시장에서는 아직 한국업체의 경쟁력이 독보적이다.
LG디스플레이는 43인치와 49인치 등 주력 제품에서부터 84인치 초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UHD TV용 패널로 고객 수요에 대응한 점이 점유율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UHD TV의 핵심기술이자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선도기술인 M+를 시장에서 인정한 결과라며 반기고 있다.
이와 관련 M+은 픽셀구조를 빛의 삼원색인 적(R)·녹(G)·청(G)에 백색(W)의 부분 화소를 추가해 RGBW 픽셀이 영상을 표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UHD TV처럼 TV 해상도가 증가하면 픽셀이 조밀하게 배치되면서 패널 투과율이 감소, 화면은 어두워지고 소비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M+는 같은 크기와 해상도의 기존 LCD 제품에 비해 휘도는 최대 50% 끌어올렸고 백라이트를 뒤로 비춰 소비전력은 최대 35% 낮췄다.
올해 TV 시장의 대세인 ‘하이다이내믹레인지(HDR)’ 기술의 단점인 전력소모량 역시 M+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경쟁업체에서는 M+ 기술을 적용한 UHD 패널의 화소수가 기존 RGB 방식에 비해 줄어드는 만큼 진정한 UHD TV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LG디스플레이는 UHD 패널 시장 실적개선에 힘입어 지난해 글로벌 TV용 LCD 패널 시장에서도 20.4%의 점유율로 1위에 올랐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