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쳐서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의 시가총액은 지난 14일 종가 기준 403조121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전체 시가총액(1404조2228억원)의 28.71%에 해당한다.
이 같은 외국인 시가총액 비중은 지난 2009년 8월 18일(28.65%)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30%대를 꾸준히 유지하던 외국인 비중은 지난 해 7월 미국 기준금리 인상 및 그리스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로 약 4년 만에 30% 밑으로 떨어졌다. 이후 줄곧 29%대에 머물렀으나 새해 들어 중국발 쇼크와 저유가로 인한 신흥국 우려가 커지면서 28%대로 내려앉았다.
외국인 순매도 행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일 한국항공우주의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에 따른 순매수 전환을 제외할 경우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지난 해 12월 2일부터 이달 15일까지 30거래일 연속 '팔자'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2008년 6월 9일~7월 23일(33거래일)에 이어 두 번째로 긴 매도 행렬이다.
연말 다소 주춤해졌던 외국인은 올해 들어서만 1조6000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며 '셀 코리아'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이처럼 외국인들의 순매도 행렬이 가속화되자 한국 증시는 시름에 빠졌다. 지난 15일 코스피지수는 1878.87로 마감하며, 지난 해 9월 8일(1,878.68) 이후 4개월여 만에 1880선을 내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의 이탈이 당분가 계속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중국증시의 롤러코스터 장세와 위안화 가치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고, 국제유가는 배럴당 20달러대로 주저앉았으나 여전히 바닥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는 관측이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