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 직원 50여명이 집중기관으로의 이직을 신청했다. 신중한 입장을 보이던 보험권에서도 접수시한이 임박해지면서 이직 신청이 늘어나고 있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손보협회, 보험개발원은 집중기관 이직신청을 18일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지난 13일 신청접수를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시한을 5일 늘렸다. 보험업계의 이직신청은 현재 은행연합회만큼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모집 정원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관기관별로는 생보협회가 가장 많고, 손보협회, 보험개발원도 정원을 넘는 인원이 신청했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업권에서는 생·손보협회, 보험개발원이 집중기관으로 인력을 보내야 한다”며 “각 기관별로 10명의 인원을 배치, 총 30명의 보험인력이 집중기관으로 이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생보협회는 20명 이상, 손보협회 및 보험개발원이 각각 10명 이상이 이직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아직 신청기간이 남은 만큼 이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청시한이 임박해지면서 이직 신청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향후 집중기관의 권한이 더 막강해진다는 예상과 함께 좋은 일자리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집중기관으로 이직한 이후 당장 초기 인프라 구축 등 세팅 작업에 업무가 과중할 수 있지만, 이 부분만 마무리 된다면 좋은 일자리가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집중기관이 시간이 지날수록 권한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초기 인프라 구축 이후 업무가 훨씬 수월해질 수 있다는 예상이 있다”며 “이에 따라 이직 신청이 적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보험 유관기관에서는 집중기관의 인력 배치에 대해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이전 정보범위에 대해 갑론을박이 마무리 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가운데 인력마저 보내는 것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내비치고 있다. 이들 기관은 또한 집중기관 설립에 필요한 자금 400억원 중 70억원을 보험권에서 분담하게 돼 내년도 예산안 편성 및 확정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하고 있다.
해당 유관기관 한 관계자는 “보험권에서는 집중기관에 대해 우호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며 “인력 배치뿐 아니라 설립 자금도 분담, 보험사들은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해 보험 유관기관들은 내년도 예산안 편성에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시선도 있다”고 언급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