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시설자금은 2006년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특히 중소기업 시설자금대출은 전체 시설자금 대출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시설자금대출 순증 규모는 지난 1998~2005년 사이 30조4000억원에서 2006~2013년에는 170조9000억원으로 약 5.6배 증가했다.
장기적이고 담보를 중심으로 하는 시설자금대출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자금잉여상태로 장기자금 운용의 필요성이 높아진 은행권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금리로 장기자금을 조달하고자하는 기업의 이해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담보확보가 용이하고 채권보전에 유리한 부동산 및 임대사업자 등에 중점적으로 시설자금대출이 공급됐다. 시설자금은 과거 공장을 신축하거나 기계를 매입해 가동률을 높이기 위한 자금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시설자금의 범위가 딱히 규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근엔 부동산 등 비제조업종의 시설자금대출이 늘고 있다.
또한 IMF 이후 투자된 제조설비들이 교체 및 증설돼야 하는 구조적 시점에 돌입한 것도 이유 중 하나다. 은행권 기업대출 가운데 시설자금대출의 비중은 2007년 24.8%에서 지난해 37.1%로 늘어났다. 전체 중기대출에서도 중기시설자금대출 비중은 지난해 36.1%로 2007년(21.7%)에 비해 약 14배 상승했다.
시설자금대출의 비중이 급상승하면서 은행 간에는 시설자금 확대 경쟁 움직임이 일고 있지만 이에 따른 위험요소도 잠재한다.
IBK경제연구소 중소기업팀의 서경란 팀장은 “중소기업 입장에서 전체 조달자금의 규모가 커진건 긍정적이지만 제조업 보다는 비제조업 분야에 시설자금이 몰렸다. 하지만 비제조업 분야에는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는 업체들이 많아 금방 도산하는 경우가 생기는 등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 입장에서도 부동산 시장이 악화될 경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효원 기자 hyowon12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