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는 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우리자산운용, 우리금융저축은행 등 ‘1+3 패키지’ 본입찰 마감결과 쇼트리스트에 오른 KB금융과 농협금융, 사모펀드(PEF) 파인스트리트가 모두 입찰 서류를 제출했다. 예비입찰 당시 매각가격이 최고 1조4000억원에 달했으나 실사과정에서 우리아비바생명, 우리저축은행 등 부실이 드러나 1조1000원대로 하락했다.
특히 파인스트리트가 약 1조1000억원의 최고인수가격을 제시했으나 NH금융지주와 차이가 100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인수가격 외에 정성적 평가를 종합할 경우 NH지주가 우리투자증권을 품에 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인수가격하락으로 매각이 원활하게 이뤄질지 불투명하다. 우리금융은 패키지 매각에 최소가격을 약 1조2000억원으로 잡고 있다. 더 비싼 가격을 받기 위해 유찰하거나 개별입찰이 허용된 우리자산운용에 대해서는 별도로 매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자산운용의 개별입찰에 키움증권이 최저 매각가격기준(MRP)인 650억원을 웃도는 800억원 안팎의 높은 인수가격을 제시해 분할매각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파인스트리트의 2개의 인수가격제시도 변수다. 이날 파인스트리트측은 △1조1500억원 안팎에 우리투자증권ㆍ우리자산운용ㆍ우리아비바생명ㆍ우리금융저축은행 등 4개 패키지를 인수하는것 외에 △1조2000억원대에 우리투자증권ㆍ우리자산운용 인수하는 2개의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인스트리트 관계자는 “입찰방식이 패키지입찰뿐만 아니라 개별입찰도 허용하고 있다”라며 “매각주체가 패키지, 개별매각에 관계없이 최고가매각원칙에 따라 유리한 방안을 선택하면 된다”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NH금융지주는 불공정입찰이라고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NH금융 관계자는 “생명, 저축은행을 제외한 또다른 인수가격제시는 가격을 높게 보이기 위한 일종의 꼼수”라며 “매각조건자체가 패키지가격을 제시하는 것이 원칙으로 이는 명백한 입찰 기준 위반이다”고 밝혔다.
한편 최종인수자를 판가름할 우선협상대상자는 오는 20일 우리금융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결정될 예정이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