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양적완화정책 합류를 공식화했다. 통화정책을 결정짓는 일본은행은 지난 21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융완화 정책을 단행했다.
핵심은 물가안정 목표제도입, 개방형 자산매입이다. 먼저 물가의 경우 일본 경제잠재성장률, 엔화약세에 따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물가 목표치를 1%에서 2%로 상향 조정했다. 통화정책완화의 극대화를 위해 개방형 자산매입도 병행된다.
예를 들어 물가목표치 달성이 미흡할 경우 일본은행은 제로금리유지, 자산매입 등 공격적인 통화완화정책을 추구할 계획이다. 무제한 자산매입프로그램 시행시점은 오는 2014년 1월이며 종료기한, 규모의 제한없이 물가목표치를 달성할 때까지 매달 금융자산을 구입할 계획이다. 일본의 양적완화정책합류로 글로벌 환율전쟁이 재현될 가능성도 높다. 올해들어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 신정부가 동시에 출범하며 대대적 통화완화정책을 밝혔기 때문이다.
주요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흐름은 △긴축중심에서 경기활성화로의 재정건전화 전환 △확장적 통화정책 △제조업 활성화 △수출확대와 자국시장 보호 △신기술 개발과 국가인프라 확충이다. 선진국이 경쟁적으로 양적완화에 나서면서 정책목표달성을 위해 자국의 환율약세를 앞다퉈 유도하는 등 글로벌 환율전쟁으로 확산될 여지도 있다는 지적이다.
환율전쟁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증시에도 후폭풍이 예상된다. 무엇보다 자국의 시장·기업·기술보호로 통상마찰, 외국기업 규제가 커지면서 국내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도 높아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NH투자증권 조성준 투자전략팀장은 “일본의 인위적 환율하락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주변국의 경쟁적인 통화절하 조치가 촉발할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하며 “환율전쟁에서 뒤쳐진 한국시장에서 외국인들의 이탈이 우려되고 있어 방어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