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신용정보·평가업계에서는 이 같은 정부 및 금융당국의 의지에는 찬성하지만, 지원책의 초점을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지원책은 중소기업 신용평가 체계에 부적절하는 의미다. 정부 및 금융당국이 추진하려는 중기 신용평가 체계 개선은 ‘재무정보에 중심을 맞춘 개인CB 성장사’를 벤치마킹 한 것이기 때문이다.
개인CB시장이 현재와 같이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신용정보·평가사들이 CB구축 초창기에 4대 시중은행 및 대형 카드·보험사 등의 고객 DB 우선적 확보가 결정적이었다.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고객DB 커버리지가 확립된 가운데, 기술력 및 노하우가 더해져 오늘날에 이르렀다는 얘기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DB 확보가 이뤄질지는 의구심이 들고 있다. 기업정보 특성상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중요한데 재무정보 중심의 중소기업 신용평가 개선은 관련 정보 공개를 꺼리는 중소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KED(한국기업데이터) 관계자는 “차기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책의 초점이 자금 유동성 확대인 만큼, 대출을 실시하는 여신금융사들은 정확한 중소기업의 정보 요구가 더 강해질 것”이라며 “각 금융사마다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 DB 공유를 꺼리고 있는 가운데, 관련 DB확보에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기업의 현황을 나타내는 프로파일로 신용평가 체계개선의 초점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한다. NICE신용평가정보 관계자는 “현재 중소기업의 수가 300만개에 달하는 가운데, 국내에서 기업정보를 담당하는 TOP2인 KED, 나이스신용평가정보의 중소기업 정보를 합해도 약 60만개에 불과하다”며 “이를 고려할 때 현 재무정보 중심의 중소기업 신용평가 제도 개선책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언급했다.
이어 “현 개선책을 프로파일에 중심을 둬야 한다”며 “프로파일 중심의 중소기업 신용평가 체계 개선이 이뤄진다면 훨씬 더 중소기업 DB 확보가 수월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