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증권이 순간의 실수로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는 금융사가 되버렸다. 실제 지난 9일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정무위 소속 민주통합당 강기정 의원이 발표한 증권사 사회공헌활동 실적에 따르면 조사대상 63개사 중 27개사는 5년 동안 연간 1000만원 미만의 사회공헌 집행실적을 보였으며 관련실적이 전무한 증권사 가운데 가운데 하이투자증권이 포함됐다. 같은 기간 약 404억원의 순익을 거뒀으나 사회공헌사업비를 한푼도 지출하지 않는 기업으로 이름을 올린 것이다.
하지만 사회공헌사업비의 경우 강의원측의 발표와 하이투자증권의 해명은 전혀 다르다. 하이투자증권은 관계자는 “지난 5년동안 사회공헌사업비 지출현황의 총액은 70억3300만원이고 올해 6월말 기준으로 33억원1500만원을 지출했다”고 반박했다.
문제는 강의원측과 하이투자증권의 사회공헌사업비금액이 무려 70억원 넘게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원실에 적극적으로 정정을 요청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유는 그 책임이 하이투자증권에 있기 때문이다. 이 사회공헌사업비 통계는 강기정 의원이 금감원에 요청한 데이터이자 하이투자증권이 금감원에 제출한 데이터이기도 하다. 즉 하이투자증권이 당시 금감원의 자료제출 공문을 잘못 해석한 탓에 빚어진 일로 책임은 전적으로 하이투자측에 있다는 것이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금감원으로부터 사회공헌사업비 지출내역을 요청받으면서 사회공헌사업의 범위는 각사별로 적의 판단하여 보내달라는 의미를 잘못 해석한 결과”라고 해명했다. 즉 담당자가 사회공헌의미를 기부금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회공헌사업 추진결과로 잘못 판단한 착오라고 말했다. 때문에 의원실측에 공식적인 정정요청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자료를 잘못준 원죄가 있는데, 어떻게 정정을 요청하겠느냐”며 “앞으로 언론사가 증권사 사회공헌활동 관련 보도할 경우 정정된 사실을 알리고 이를 바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원실측도 정당한 절차를 거쳐 입수한 자료인 만큼 정정은 없다는 반응이다.
강기정 의원실측은 “금감원에 요청해 자료를 받는 등 정상적인 절차를 거쳤다”며 “그쪽에서 자료를 잘못제출해 그 자료대로 분석했을뿐인데, 우리가 정정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않다”고 말했다.
한편 강의원의 ‘금융업계 사회공헌실적’보도자료는 지난 8일 오전에 발표됐으나 하이투자증권은 다음날 오후 2시경에도 이같은 사실이 파악이 안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팀은 이날 늦은 오후에서야 사회공헌실적관련 데이터를 밝히며 수습에 나서기도 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