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2008년 9월 15일 리먼브러더스 파산신청 기준) 이후 4조원(4조 3,210억원) 이상 채권형펀드 수탁고가 증가했다. 금융투자협회 펀드통계 30일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 채권형펀드 수탁고는 6조 3,845억원이며, 지난 2008년 9월 16일 2조 635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해 3배 이상 성장했다. 국내펀드가 약 2조 5천억원 증가했으며, 해외채권펀드도 1조 8천억원 이상 설정액이 증가했다.
업계 전체 채권형펀드 수탁고는 같은 기간 11조 5천억원 이상 증가하며 48조원(47조 8,053억원)에 육박했다.이 가운데 해외채권형펀드 수탁고는 4조원(3조 9,540억원)에 달하며 약 2조 3천억원이 증가했다.
상위 5개 채권펀드 운용사 가운데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 다음으로 한화자산운용이 약 2조 5천억원 증가했으며, 하나UBS자산운용도 1조원 이상 추가 설정했다.
개별 펀드에서는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자펀드 시리즈의 운용 모펀드인 ‘미래에셋글로벌증권모펀드’가 설정액 1조 2천억원(1조 2,386억원)을 돌파하며 업계 최대 해외채권펀드로 성장했다.
수익률은 올해만 7.93%를 기록 중이며, 최근 2년과 3년 수익률도 각각 15.02%, 33.33%를 기록하는 등 장단기적으로 우수하다.
이 펀드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이머징 마켓 등 전세계 우량 채권에 분산투자하는 글로벌채권펀드이며 판매용 자펀드로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자펀드’, ‘미래에셋법인전용글로벌다이나믹분기배당자펀드’, ‘미래에셋라이프사이클글로벌다이나믹자펀드’ 및 ‘미래에셋퇴직플랜글로벌다이나믹자펀드’ 등을 두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채권운용부문 김진하 이사는 “금융위기 이후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주는 채권형펀드에 대한 기관 및 개인들의 관심이 많아졌다”며, “국내 및 해외투자 유형뿐만 아니라 투자지역 및 위험 수준에 따라 채권형펀드 유형도 다양해져 고객들의 투자 성향에 따라 적절한 투자 의사결정을 해야할 것이다”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