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CDS프리미엄 역전현상으로 위기론 고조
제2의 금융위기에 대한 불안감이 시장에 확산되는 모습이다. 지난 26일, 27일 이틀 사이에 연중 최저치로 이탈한 뒤 다음날 연중 최고오름폭을 보인 코스피가 대표적이다.
이처럼 하루사이에 지수가 천당과 지옥을 오간 건 제2 금융위기에 대한 불안감의 영향이 컸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재현가능성이 부각된 직접적인 원인은 환율. 환율변동폭은 지난 8월 5일 S&P의 미신용등급 강등 이후 한국 -8.5, 싱가포르 -6.4, 대만 -5.1, 호주 -6.9%로 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업친데덮친격으로 한국의 CDS프리미엄 급등도 제2 금융위기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부추겼다. 이 지표는 신용부도스왑(CDS: Credit Default Swap)으로 채권보유자가 신용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파생상품거래로 주요 결정요인은 국가신용등급이다.
문제는 지난 22일 한국 CDS프리미엄(206bp)이 프랑스(203bp)보다 높아지는 역전현상이 발생하고부터다. 프랑스의 경우 그리스 등 남유럽국가에 대한 익스포저(exposure)가 높아 지난 2010년말부터 CDS프리미엄이 다소 높게 형성됐다. 유럽위기에 노출된 프랑스보다 CDS가 급등하자 한국의 부도위험이 부각된 것이다. 유럽계 차입비중이 32%로 높다는 점도 위기론의 근거로 작용했다. 현재 차입규모는 629.8억달러.
이 가운데 단기차입이 396.8억달러로 장기차입 233억달러보다 많다. 유동성문제로 발등의 불이 떨어진 유럽계 은행들이 대거 회수에 나설 경우 유동성부족에 직면할 것이라는 논리다. 여기에다 일부 유럽계 은행이 만기 도래시 상환을 요구했으나 국내은행이 유동성악화를 이유로 차환을 미루고 있다는 루머까지 겹쳐 위기론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 외환건전성 양호, 환율고점시 환차익노린 외인컴백 가능성 솔솔
하지만 이같은 위기론은 불안한 투자심리가 더해지며 크게 부풀려졌다는 게 시장의 컨센서스다. 위기론의 주요 근거로 꼽히는 유럽차입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3,122억달러)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으며 CDS급등도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며, 여타 국가들의 공통된 현상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위기론의 주범인 환율의 펀더멘탈이 양호하다. 수급으로 봐도 글로벌 위기 당시보다 빚이 적고 외환은 많은 형국이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 지난 2008년 9월말 51.9%에서 지난 6월말 37.6% 수준으로 하락했고,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도 79.1% → 49.2% 떨어지는 등 외환건전성은 크게 개선됐다.
메리츠종금증권 오창섭 연구원은 “현재 국내 외환보유고 규모는 2008년 당시보다 50% 가량 늘어난 3000억달러대 초반을 기록하고 있다”며 “은행들의 단기차입금도 금융위기 이후 금융당국의 은행들에 대한 지속적인 외환건전성강화 조치로 1400억달러대에서 1100달러대로 감소하는 등 외환건전성은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때문에 환율강세가 진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우리투자증권 강현철 투자전략팀장은 “대체 안전자산 부족으로 달러화 가치가 급변동할 가능성이 낮고, 무역수지 흑자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 강도도 강화되고 있다”며 “추가적인 악재가 불거지지 않는다면 향후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환율의 상승여력이 둔화될 경우 오히려 외국인의 컴백을 앞당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NH투자증권 서향미 연구원은 “과거 원/달러환율 상승시 환차익이 목적인 외국인 자금 유입이 크게 증가했었다”며 “환율강세가 고점에서 일단락되고 손절물량청산으로 신규포지션에 여력이 생긴 외국인이 거꾸로 환율하락에 따른 환차익을 노리는 쪽으로 증시에 신규자금유입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편 높은 무역의존도로 대외여건에 취약한 국내시장 여건을 감안할 때 환율이 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현대증권 박혁수 채권전략팀장은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 A0로 글로벌 안전자산이 아니다”며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여건상 글로벌 경기 변동에 취약하고 외국인의 달러 확보가 비교적 용이한 외환시장 등을 감안할 때 안심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 주요국 CDS 동향 〉
(자료 : 기획재정부)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