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재 시, 군 등 지자체와 어린이보험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보험사는 금호생명, 대한생명, 현대해상, 롯데손보, 제일화재, LIG손보, 동부화재 등 7곳이다.
지난 4월 대한생명, 금호생명, 제일화재, 동부화재는 대구광역시와 공동으로 제휴를 맺고 대구시에서 올해 1월 이후 출생한 둘째 이상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보험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금호생명은 이 밖에도 2004년 11월 충북 증평군을 시작으로 경기 인천시, 서울 송파구, 광주 광산구, 강원 양양군 등 현재 32개 도시와 제휴를 맺고 있다.
현대해상도 2007년에 경기도 포천시와 강원도 춘천시와 협약을 맺었으며, 롯데손보는 강원도 삼척시와, LIG손보는 성주시, 김포군, 온진군과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같은 어린이보험 지원사업은 지자체가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보험료를 지원해주는 것으로, 각 지자체가 보험사의 지역영업본부와 협의해 제휴를 맺거나, 사업에 참여할 보험사를 공모해 조건에 부합하는 보험사를 선정한다. 대구시의 경우처럼 피보험자를 신청자 개인으로 하여 보험사가 계약을 인수하거나, 단체보험 형식으로 계약기간 내에 출생할 어린이의 수를 예측해 한건의 계약으로 체결하는 곳도 있다.
통상 가정의 둘째자녀나 셋째자녀부터 지원하며 6~10년 동안 소아암진단비, 질병, 상해, 화상으로 인한 치료비를 보상한다. 1인당 보험료는 월 2~3만원 수준으로 지자체에서 보험사에 대신 납부한다.
보험사들은 이같은 사업이 수익측면에서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기보다는 이를 토대로 2차 마케팅을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추진하고 있다.
제휴가 이루어져 계약이 보험사로 인수되면 보험사는 해당 지역에 있는 설계사를 각 계약의 전담자로 지정해 계약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설계사는 단체보험 계약을 관리함과 동시에 고객을 통해 새로운 계약을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된다. 또한 해당지역에서 회사의 이미지 제고 및 인지도를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 같은 지원 사업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어린이보험은 보험료가 저렴하다 보니 보장범위가 좁아 실제로 보상받을 수 있는 내용이 한정돼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입·통원 의료비를 보장하는 상품도 속속 등장했으나, 의료실비담보의 경우 소비자가 개별적으로 가입한 보험과 비례보상해 지급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산장려라는 본래목적에 미치지 못하고 생색내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요즘은 임신사실을 안 순간부터 태아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입원일당처럼 실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도움이 되는 담보는 빠지고 발생 가능성이 낮은 담보가 많은 보험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보험료 수준에 맞춰 담보를 구성하다 보니 범위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보험사 관계자는 “실제적인 수익을 바라기보다는 투자의 개념으로 실시하는 사업인데다, 지자체에서 제시하는 2~3만원의 보험료에 맞추다보니 보장 범위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손고운 기자 sgw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