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 연체율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독당국의 선제적 조치와 업계 자체적으로 노력한 결과로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 저축은행들이 6월 결산이 되면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요즘에는 평상시에 연체율을 관리하고 있어 연체율이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연체율 전년대비 감소 추세…상시 리스크 관리 효과
실제로 저축은행들의 평균 연체율은 3월말 현재 16.0%로 전년 동기 16.8% 대비 0.8%p가 감소했다. 이같은 감소 추세는 지난해 12월부터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연체율은 14.7%로 최저치를 나타냈으며 1월 15.7%, 2월 17.4%로 다소 증가해 오름세를 나타내는 듯 했다. 하지만 이는 전년 동기 1월 17.2%, 2월 18.3% 대비 1.5%p, 0.9%p 감소한 수치를 나타냈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저축은행의 경우 안정적으로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자산건전성 기준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상시 리스크관리를 하고 있다”면서 “특히, 올해 초 리스크 관리 기준이 강화돼 좋은 호응을 얻으면서 연체율도 낮아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자산 1조원이 넘는 대형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올 초 저축은행의 신용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상호저축은행 검사업무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상시감시업무를 전담하는 RM팀을 구성하게 했으며 PF대출 과다저축은행의 밀착상시 감시대상을 선정해 운용하도록 했다. 또한 여신리스크 및 내부통제강화 방안도 마련했다. 자산 1조원 이상 저축은행의 대출심사부서와 대출사후관리부서를 별도 운영하게 했으며 감사담당부서 별도 설치·운영 및 감사실무인력 4명 이상 유지하도록 강화했다. 이같은 감독당국의 조치는 업계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저축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 조치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에는 이르지만 현재까지 반응이 좋으며 이에 따른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연체율 및 자산건전성이 개선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 6월 결산 전 부실채권 정리에 박차
한편, 6월 결산법인인 저축은행들은 자산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우량고객 위주의 여신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해 대비 실적은 20~30%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B저축은행 관계자는 “우량 위주로 대출을 확대하는 한편 철저하게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면서 “또한 강화되고 있는 충당금 적립 기준 때문에 6월 결산의 경우 전년 대비 20~30% 정도 순익감소가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6월 결산이 다가오면서 건전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부실채권 회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업계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6월이 결산 시기이기 때문에 BIS비율 등 자산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부실채권 회수에 적극 나서고 있다”면서 “특히 충당금규제 강화가 하반기로 유예됐기 때문에 부담은 없지만 안정적인 선을 유지하면서 내년 자통법 도입을 대비하기 위해 결산기에 부실채권을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