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보험강화 목표 같아 ‘승자의재앙’ 부를듯
“국제화엔 당연히 박차를 가해야겠지만 종합금융그룹화를 둘러싼 긴장관계가 가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금융계 한 고위관계자는 그렇게 진단했다.
그는 특히 “우리 신한 등이 지주사 체제를 바탕으로 금융그룹화를 진전시켰지만 비은행 부문까지 전방위적으로 선두권 경쟁력을 갖춘 금융그룹은 이제 막 출현을 앞두고 있거나 아직 갈 길이 먼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비은행 부문이 가장 탄탄하다는 신한지주조차 증권 및 자산운용, 그리고 보험 분야에서 배타적 경쟁우위를 갖췄다고 보기 힘든 상황,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은 비은행 비중이 훨씬 약한 처지다.
따라서 종합금융그룹화의 성과는 이제 막 보행에 자신감을 부치기 시작한 단계다.
비은행 부문 자체 성장을 통해 선두권으로 도약하기가 힘든 반면에 금융사 인수 또는 합병(M&A)이나 신설 역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 국민 농협 기업 등이 가세하면
게다가 이들 은행계 지주회사 말고도 종합금융그룹화에 이미 착수했거나 본격적으로 가세하려는 움직임 또한 거세지고 있어 선발 금융지주사들 마저도 M&A를 통한 신규 영역 진출이 갈수록 어려워질 전망이다.
종합금융그룹화를 직·간접적으로 공식화한 곳만 하더라도 농협과 기업은행 부산은행 등이다.
여기에 국민은행 역시 지주회사 체제가 됐건 은행을 모체로 다양한 비은행 자회사를 거느리는 체제가 됐건 금융그룹화는 대세라는 게 은행 안팎의 지적이다.
매각부터 가닥을 잡아야할 외환은행과 글로벌 네트웍의 로컬브랜치인 외국계 은행, 그리고 대형은행과 격차가 너무 많이 벌어진 전북은행 등을 빼고는 모두가 금융그룹화라는 접점에서 사업다각화인 동시에 외형확대 경쟁에 뛰어든 형국이다.
금융계의 많은 관계자들은 은행들이 증권 및 자산운용업과 보험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을 수 없도록 금융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은행 경영환경의 변화는 두 갈래로 가파르게 몰아닥치고 있다.
우선은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어 원스톱 토털 금융서비스는 절대조건으로 자리잡기 마련이며, 둘째로는 자본시장통합법 발효가 임박했고 방카슈랑스는 자꾸만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법제도적 여건이 은행권에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한 대형은행 임원은 “독자적인 증권 및 자산운용 브랜드도 없이 업무제휴로만 어떻게든 되겠지 하는 생각을 지닌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들이 국내 시장에 대한 본격 공략 채비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전혀 알지 못하는 바보”라고 강조했다.
◇ 은행 대비 취약분야 죄다 닮은꼴
따라서 뜻있는 금융계 관계자들은 “문제는 이에 대한 대응 역시 군집행동화 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지적한다.
증권업을 보자면 LG투자증권을 인수한 우리금융, 일찌감치 굿모닝증권을 인수했고 증자에도 발빠르게 움직인 신한지주, 대투증권 인수로 업그레이드 한 하나금융 정도가 상위권에 진입해 있거나 도전할 만할 뿐 나머지 은행들은 거리가 멀다.
보험은 말할 것도 없고 카드 부문은 신한지주와 국민은행 정도가 안정권에 들었다 할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그래서 이들 업권의 금융사 M&A나 신설 모두 ‘승자의 재앙’마저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싹 튼 것이다.
국민은행이 KGI증권 인수전에서 예상 밖으로 신속하게 포기한 것이 단적인 예로 꼽힌다.
각 업권별 상위사는 경영권을 내 줄 이유가 전혀 없어 중소형사에 눈을 돌려야 하는데 매물화 할 금융사가 많지 않아 ‘귀하신 몸’이다 보니 기업가치를 훨씬 초과하는 돈을 지불해야 할 판이다.
LIG생명 인수를 추진했던 기업은행이 단념해야 했던 이유도 감내 가능한 범위를 훨씬 뛰어 넘는 액수를 LIG측이 불렀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 중소형사 인수해도 해갈 어려워
매물로 나온 몇 안되는 중소형 비은행부문 금융사를 많은 돈을 주고 제 울타리에 끌어 넣더라도 당장 시장에 끼칠 파괴력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인수전 승자는 투입비용대비 저효과란 재앙에 직면하기 십상이다.
아울러 익명을 요청한 금융연구원 한 전문가는 “각 업권마다 상위사 점유율이 절대적인 가운데 중소형사 인수로 해당분야 브랜드와 경쟁력 등의 니즈가 해갈될지 의문스러운 구석도 있다”고 말했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