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북핵 사태’ 직후엔 국책은행과 국민은행 등 일부 대형 은행들만 대응방안 마련에 착수했던 것과 달리 최근까지도 북핵사태가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으면서 나머지 시중은행들도 잇따라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나선데 따른 것이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처음으로 전략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11개 부서장을 중심으로 한 ‘북핵사태 대응 TF팀’을 만들었다.
핵실험 이후 그 위험도에 따라 △1단계는 1차 핵실험으로 부담은 있으나 자본시장에 약간 영향을 주고 심각하지는 않은 상태 △2단계 2,3차 핵실험으로 예금인출 일어날 것 같은 심각한 위기상황 △3단계는 전시에 가까운 상황 등 3단계로 구분해 각각 단계별로 상황이 발생하면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을 마련했다.
현재는 1단계로 판단, 자본시장이나 수익증권 신규·환매, 외화예금 및 대출 등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신한은행도 북핵 사태 이후 지난 10일부터 ‘비상대책 TFT’를 운영하고 있다.
전략기획부장을 간사로 해 역시 주요 부서장들이 참여하며 북핵과 관련한 금융환경 변화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응책을 모색하기로 했다.
아울러 TF팀 운영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일주일에 한번 실무자회의를 운영하기로 했다.
만일 사태가 더 악화돼 준 전시상황이 될 경우 자체 충무계획에 따라 상근 경영진 전원으로 구성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한다는 복안도 세웠다.
우리은행은 북핵 이후 추이를 지켜보다 다른 은행들보다는 다소 늦은 지난 13일 ‘북핵TFT’를 꾸렸다.
경영기획본부, 자금시장본부를 주축으로 해 15명으로 구성했으며 금융시장과 은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만든다.
하나금융지주는 시중은행들과 달리 그룹사 차원에서 북핵의 상황전개에 따른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했다.
크게 3가지 시나리오 전개에 따라 전체 그룹사, 자회사별, 리스크 유형별 등 각 부문별로 대응 방안들을 마련해 비교적 구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단 △금융시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 △실물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 △준 전시사태 등 위기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등 3가지로 나눠 각 시나리오별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은행 및 지주사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아직까지 컨틴전시 플랜이 발동할 정도는 아니어서 일단 각 부문별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만 아직 별다른 점들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