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은행산업의 경쟁구도에서 영업 강화에 총력을 기울여도 모자랄 판에 전체 인력의 절반 이상이 본점에 몰려있는데다 중소기업금융은 소속이 불분명 해 영업에 가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들이 잇따르고 있다.
씨티은행은 출범 이후 본부 부서의 지나친 분류로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저해한다고 판단, 다시 옛 한미은행 시절의 80여개 부서로 통폐합 한 바 있다.
그러나 인력은 그대로여서 전체 직원(비정규직 포함)의 53.1%가 본부 부서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은행에선 추산했다.
최근 시중은행들이 현장 영업력을 강화하는 추세와 반대로 영업점보다 더 많은 인력들이 본부 부서에서 일하고 있는 셈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전체 직원(1만3611명) 가운데 22.8%만이 본부에서 일하고 있고 우리은행(전체 1만4074명)은 28.9%, 하나은행(전체 8950명)은 29.1%의 직원들을 빼고는 모두가 영업점에서 일하고 있다.
아울러 씨티은행은 지난 2004년 11월 출범 이후 2년이 다 돼가도록 ‘중소기업’에 대한 분류도 완결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은 그동안 주로 가계형, 기업형 점포로 나뉘던 상황에서 ‘영업점 분리 테스크포스팀’을 운영, 중소기업을 어느 점포에서 취급해야 할지를 놓고 고민해왔다.
기존 소비자금융그룹과 주로 중견·대기업을 취급했던 기업금융그룹에서도 비교적 리스크가 크고 그동안 씨티그룹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터라 난감해하는 상황인 것으로 은행 안팎에선 해석하고 있다.
지난달엔 테스크포스팀 검토 결과 매출액 100억원 또는 여신 10억원을 중소기업의 기준으로 삼으려 했으나 이 경우 대략 10여개 점포에서만이 취급할 수 있는 상황이 돼 이마저도 재검토에 들어간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을 둘러싼 은행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씨티은행은 체계적인 영업전략과 추진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중소기업에 대한 신규여신은 물론이고 기존 거래 기업들에게까지 리스크관리를 위한 각종서류들을 징구하는 등으로 영업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또 지난 7월 소비자금융부문 전산통합된 것 말고는 카드부문이 내년 4월, 기업금융부문이 내년 3분기 정도로 통합이 예정돼있어 아직은 반쪽자리 전산통합인 셈이다.
전산통합이 끝나고 새로운 전산시스템에 대한 적응기간을 감안하면 적어도 내년 4분기 이후에나 완전한 통합 및 정상 영업이 가능하다는 계산도 나온다.
지금도 소비자금융시스템은 옛 한미은행 시스템으로 통합돼 옛 씨티 서울지점 직원들의 적응이 쉽지 않다는 얘기들이 종종 나오고 있다.
씨티은행 한 관계자는 “옛 씨티 지점에서는 주로 카드나 투자상품에 주력해왔지 여신 등의 업무는 별로 취급하지 않았었다”며 “여신업무는 주로 대출모집인이 모집하고 별도의 센터에서 심사 및 승인이 이뤄지는 구조여서 새로운 시스템에 적응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씨티은행의 이같은 상황 속에서 최근 하영구 행장이 토착화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나선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있었던 타운홀미팅(부점장회의)에서 하 행장은 토착화 실패가 결국 국내 영업의 실패로 이어졌던 사례로 까르푸와 월마트를 꼽으며 이날 토착화 실현을 강조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행장의 임기가 내년 5월인 점에 비춰 남은 기간동안 토착화 수준을 어느 정도까지 끌어올릴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