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숙원사업인 동북아 금융허브에 대해서는 “금융허브는 목적이 아니라 금융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과정에서 수단으로 이해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같은 입장은 올해 15주년이 되는 금융연구원을 2년째 이끌고 있는 최흥식 원장을 만나 최근 금융계의 현안과 이슈들을 짚어 보는 자리에서 드러났다.
최 원장은 “외국의 경우 4% 제한은 없지만 산업자본의 은행인수에 대해 엄격히 검사하고 은행업이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컨센선스가 형성돼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국내는 상황이 달라 이 원칙마저 없어지는 경우 감수해야 할 감독비용이 엄청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동북아 금융허브에 대해선 “목적과 수단을 분명히 하자”고 전제한 뒤 “금융산업의 개혁 및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고 이를 위해 유능한 인력, 자금, 금융기관을 유치하면 자연스레 금융허브는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