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태 한국은행 총재 초청으로 지난 16일 열린 월례 금융협의회에서 은행장들은 “콜금리 인상 후 금융자산보다 금융부채가 많은 서민층의 부담이 다소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각 은행의 여신확대 노력으로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한은측은 밝혔다.
기업의 경우엔 시장금리와 금융기관 여수신금리가 오르고 있으나 연초이래 회사채를 선발행하는 등 금리상승에 미리 대비해왔고 중소기업도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된 점 등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금융비용 부담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현재의 금리수준은 여전히 경기부양적이라는 데에 견해를 같이 했다고 한은측은 전했다.
은행장들은 그동안 큰 폭으로 늘었던 주택담보대출이 정책금리 인상의 영향, 최근 일부 지방의 저조한 아파트 분양율 및 입주율 등에 비춰 앞으로는 신장세가 둔화될 것이라고도 했다.
또 최근의 대폭적인 주가하락과 관련 “글로벌 증시 약세에 따른 동조화 현상에 주로 기인한 것인데다 우리 경제의 펀더멘탈이 여전히 견실한 만큼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내다봤다.
한편 은행장들은 현재의 유동성비율 규제가 너무 엄격하다며 이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출채권 유동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시장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은행들은 3개월이내 유동성자산이 3개월이내 유동성부채의 100% 이상이 되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신상훈 신한은행장, 김종열 하나은행장,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 필 메리디스 SC제일은행장, 강권석 기업은행장, 정용근 농협 신용대표이사, 장병구 수협 신용대표이사, 김종배 산업은행 부총재 등이 참석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