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이 이번주 내에 SK투신운용 인수 관련 작업을 마무리지을 것으로 보인다.
박현주닫기

이로써 지난해 자본금 200억원, 수탁고 4000여억원 규모의 세종투신을 인수한 후 자본금 300억원, 수탁고 1조2000여억원의 SK투신 인수도 마무리됨에 따라 박 회장의 공언대로 미래에셋은 사모펀드 전문운용 투신사를 설립할 수 있는 기본골격을 갖추게 됐다.
박 회장은 지난해 “세종투신과 SK투신을 인수한 후 이를 합병해 MAPS(Mirae Asset Portfolio Service) 투신운용을 설립한 후 이를 사모펀드 전문 투신사로 키워 한투운용이나 대투운용 한 곳을 인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사모펀드를 통해 한투운용이나 대투운용 한 곳을 인수해 외국자본에 대항할 수 있는 대항마를 키우겠다는 것.
이에 따라 SK투신 인수 작업이 끝나는대로 한투운용이나 대투운용 인수작업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현재는 한투증권과 대투증권 매각과 관련한 정부방침을 지켜보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미래에셋이 대투나 한투운용 한 곳을 인수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대투운용에 대해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박 회장의 관심 표명과 한·대투증권 공자금 투입 후 운용사의 부실채권이 없어졌다는 것 등이 미래에셋이 두 운용사 중 한 곳을 인수할 것이라는 근거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대투운용을 인수할 수 있는 미래에셋의 자금력은 충분하다”며 “인수를 위한 박 회장의 실행절차만 남았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증권업계에 나돌고 있는 LG증권 인수설과 관련 박 회장은 적극적인 인수에는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LG증권을 인수해 규모의 이익을 키우기보다는 내실있는 운용에 전념하겠다는 것이 박 회장의 생각이다.
박 회장은 “하드웨어에 비중을 둘 생각은 없고 소프트웨어인 운용에만 전념할 것”이라며 “LG증권 인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의사는 없다”고 못박았다.
그동안 LG증권 매각과 관련 국민은행이 일보 후퇴한 가운데 우리은행, 하나은행과 함께 미래에셋증권이 인수 파트너로 인수에 뛰어들어 3자 대결이 될 것이란 설이 무성했었다.
홍성모 기자 hs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