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화상대출 알선계약을 맺고 저축은행으로부터 대출기계를 구입한 모집업체들의 대부분이 사용료조차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액대출시장이 침체됨과 함께 화상대출 또한 승인율이 크게 낮아졌기 때문.
더욱이 기계처분에 대한 약정이 없어 적자를 보면서도 이를 처분하지 못해 발만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저축은행들은 모집업체가 타 저축은행과 계약을 맺고 기계를 설치했을 시 거래코드를 삭제해버리는 등 일종의 독점권 행사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에 있는 한 중개업체는 2달 전 화상대출 상품을 취급하는 푸른, 경기 저축은행과 계약을 맺고 기계를 구입했다.
기계 한 대당 가격은 4~5백만원 선. 모집업체 산하 하부조직에까지 설치한 물량을 합쳐 총 25대의 기계를 구입했다.
이 업체는 기계값 이외에 통신전용선 설치비로 한 대당 10만원을 주고, 여기에 매월 8만원의 사용료를 지불하기로 했다. 또한 관리 솔루션회사에도 매월 5만원씩 지급했다.
문제는 지난달부터 화상대출 승인율이 현격히 떨어져 통신료조차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것. 특히 1월달에는 대출실적이 한건에 불과했다.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저축은행에 기계회수를 건의했지만 약정상 근거조항이 없어 솔루션 회사로부터 관리비 체납 독촉만 받고 있을 뿐이다.
이 회사 한 관계자는 “기계를 판매해 놓고 정작 대출승인을 안해주는 것은 너무나 무책임한 처사”라며 “반환을 요구하고 싶어도 괜히 저축은행에 미움을 사 대출이 아예 막혀버릴까봐 말도 못꺼내고 있다”고 털어놨다.
김치원 기자 cw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