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공적자금 운용을 담당하는 정부는 이에 정면으로 반대, 추가소요가 불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공적자금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한번 달아오를 것으로 보인다.
23일 인수위에 따르면 인수위와 정부관계부처들은 지난 21일 열린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질서` 토론회에서 이같은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다.
회의에서 인수위측은 "한국, 대한, 현대투신의 부실을 정리하려면 6조∼7조원 가량의 자금이 추가로 필요하다"며 정부의 안일한 대책을 추궁했다.
그러나 정부측은 "경제상황에 따라 필요한 자금규모는 달라지는 것이며 7천억원선이면 충분하다"는 입장을 개진하며 인수위의 견해에 반대를 표시했다.
현 정부 임기중 조성됐던 158조원의 공적자금중 현재 잔여자금은 2조원선에 불과하고 그나마 현재 프루덴셜과 매각협상이 진행중인 현대투신에 정부가 공동출자를 하고 신용협동조합의 잔여부실을 정리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추가투입여력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또 남아있는 공적자금은 회수가 되더라도 이미 부실규모를 산정해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관에 추가투입을 할 수 없어 이들 투신에 추가공적자금이 소요될 경우 올 해초 출범한 예보기금이 대규모 차입에 나서 자금을 조달한 뒤, 차후 징수되는 예보료로 상환하거나 최악의 경우 추가공적자금을 조성해야 하는 형편이다.
금융기관 공적자금투입에 대한 인수위와 정부의 이같은 의견차이로 새 정부출범 초기부터 공적자금의 적정규모와 현 정부중 진행된 금융구조조정의 적정성을 둘러싼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