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서신평정보가 한대련의 대금 미지급을 이유로 매매계약 무효를 선언하면서 계약이 1월로 연기된데다 한대련측도 1월중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의 인가취득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어 재계약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6일 한대련 김명일 사무총장은 “이번 달 금감위 개최가 10일과 24일로 각각 잡혀있지만 현재 상태로는 일정에 맞춰 자료제출을 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통상 금감위에 최종적으로 안건이 상정되기 위해서는 금감원 간담회를 비롯한 사전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금감위가 개최되기 2주전에는 서류제출을 해야한다는 것.
이에 대해 김 사무총장은 “2월 이후에나 관련 서류구비를 마무리짓고 본격적으로 인수문제를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서신평 인수를 둘러싼 주가조작설에 대해서도 한대련측은 시장이 전체적으로 반응하는 것일뿐 어떤 부당행위도 없음을 강조했다.
한편 대부업단체 통합문제와 관련 한대련은 외부인사 영입을 통한 단체운영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한대련이 추진해온 일련의 사업들이 안정적으로 자리잡기 전까지는 회장자리를 내줄 수 없다는 것.
김 사무총장은 “회원사들에 대한 안정적인 자금조달과 광고비, 인건비등의 사업비용인하, 그리고 채권추심 및 신용정보공유등이 정상궤도에 진입하기 전에 외부인사를 영입한다면 한대련뿐만 아니라 대금업 전체에도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치원 기자 a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