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 강동수 박사는 지난 15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신용정보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세미나에서 이같은 사안을 밝히고 효율적 신용정보 육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금감원이 국내 금융사 부실채권 보유량을 지난 6월말 32조 1000억원으로 발표했지만 새마을금고, 연기금, 투신사와 같은 제2금융권 및 비금융기관이 보유하는 부실채권까지 감안하면 부실규모는 100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강 박사는 또 유가상승 등 외부적 환경변화가 있을 경우 잠재 부실채권의 현실화 가능성은 더 높다고 지적하고 단기 금리 폭등등으로 자산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부실이 현실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