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3개 생보사 노조는 28일부터 3월1일까지 파업을 결의한 후 28일 국회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오후 2시엔 금감위를 방문, 항의했다.
이날 파업은 전산은 다운시키지 않은 경고성 파업으로, 약 1300여명의 3개생보사 노조원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3개 생보사 노조는 “생보사 부실화의 책임이 정부측에도 있는데 일방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함으로써 3개생보사 직원들이 대부분 일자리를 잃게 됐다”며 계약이전방식의 구조조정을 중단할 것과 구조조정의 잣대가 되고 있는 개정된 지급여력기준을 철폐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3개 생보사노조는 이 같은 경고성 파업에도 정부측이 성의 있는 대안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일단 해산한후 다음주초인 5일경 다시 모여 무기한 재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생보사 파업은 결제시스템과는 무관한 업종특성상 은행파업에 비해 사회적 파장이 작고, 특히 이번 파업에 참여하는 생보사가 구조조정대상으로 지목된 후발 3개생보사에 국한돼 업계안팎에 미칠 파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러나 업계일각에서는 정부가 신설생보사를 무더기로 인가한후 경영감독을 등한시한 것이 부실화의 원인이며, 특히 최근 지급여력기준을 일거에 상향조정함으로써 구조조정대상 생보사가 늘어났다고 정부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이양우 기자 s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