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나 지난 3월 투신권 등 채권단들은 대우 주력사에 대해 서울보증 및 정부의 중재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일부 상환 및 일부 차환발행으로 합의를 해줬는 데도 이마저도 공적자금 투입 지연으로 대지급을 하지 않는 배짱으로 일관, 채권단들에 이중의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
7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7월말 현재 서울보증보험은 대우 주력사에 대한 원리금 지급과 관련 은행권 및 투신권에 대해 약 1조 500억원(원금 4000억원, 이자 6500억원)정도를 연체하고 있어 금융기관들의 유동성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26일 예보를 통해 7월말이나 이달중 서울보증보험에 1조 2000억원을 투입하고 9월 이후 1조 5000억원, 2001년에 2조 6000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문제는 대우채를 제외한 일반 워크아웃기업 관련 보증분과 대우 비주력 계열사에 대한 원리금 대지급에 대해선 정상적인 영업이 가시화되는 상태에서 지급한다는 의사를 보일 뿐 어떤 구체적인 상환 계획을 세우고 있지 않아 보증기관으로서의 의무를 져버리는 무책임한 행동이 아니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 서울보증에 대한 정부의 확고한 경영정상화 의지 천명과 보증기관으로서의 위상 확립이 이뤄져야만 현재 진행중인 금융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태경 기자 ktit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