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스닥시장 급락과 벤처업계의 침체로 위기설마저 돌고 있는 창투사들의 입장에서는 유동성 확보차원에서 대우채 환매제한 조치의 해제를 바라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해결안이 제시되지 않아 속만 태우고 있는 상황이다.
8일 벤처캐피털업계에 따르면 현재 공식 집계된 환매제한 채권 규모는 약 550억원 가량. 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5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창투사들이 경영상태가 노출되는 것을 꺼려 상호간에 쉬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환매제한 채권규모는 더 커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창투사들은 당초 상호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 신협 등에 대해서도 환매제한을 풀어주면서 엄밀한 의미에서 금융기관도 아닌 창투사들만 환매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반발해 왔지만 결정권자인 금감원쪽에서 뚜렷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금감원의 결정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벤처캐피털 업계에서는 지난 3월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금감원·중기청 등 유관기관에 대한 공식 건의문을 발송하는 것은 물론 창투사와 벤처조합이 금융기관이 아니라는 법률자문내용을 바탕으로 환매제한의 부당성을 알리는 법적 절차도 추진하는 등 다방면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진전이 없는 상태다.
만일 환매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벤처산업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타금융기관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투자재원이 취약한 창투사들로서는 추가투자의 여력이 줄어들 수 밖에 없으며 일부사들의 경우 유동성 부족상태를 야기할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갈 경우 최근들어 주춤하고 있는 벤처투자가 침체국면으로 들어설 수도 있다는 게 창투사들의 입장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반 사모임 형태인 벤처조합분에 대한 환매제한을 풀고 그 후 회사계정에 포함된 제한분을 풀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벤처캐피털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여러 경로를 통해 환매제한 해제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현재 상태로는 금감원의 결정을 기다리는 방법외에는 뾰족한 수단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또 “창투사들을 환매제한으로 묶어놓고 벤처기업들에게 투자하라는 것은 정부의 벤처육성정책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김상욱 기자 suk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