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신은 신탁재산에 편입된 자산중 법정관리기업이나 화의기업이 발행한 채권이나 기업어음을 기초로 자산유동화증권(CBO: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을 1조원이상 발행하기로 하고 주간사 선정에 들어갔다.
주간사 선정에는 대우증권을 비롯 삼성, 현대, 대신, 동양, 세종, 하나등 7개 증권사가 신청,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투신은 2개 주간사를 선정할 계획이며 자산의 신용을 평가할 신용평가사 선정, 유동화전문 페이퍼 컴퍼니(SPC)설립 등의 일정을 진행, 연내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자산유동화증권은 회수가 가능한 자산을 토대로 높은 신용도와 낮은 금리가 제공되는 선순위채권과 신용도가 낮고 고금리를 제공하는 후순위채권으로 분리해 발행된다.
한국투신은 신용평가 회사들이 부실채권의 회수율을 10%정도로 예상하고 있어 유동화증권의 신용보강 작업을 통해 선순위채 비율을 늘리고 신용도가 낮은 후순위채의 매수처를 찾는 것이 관건이라는 판단이다.
한국투신은 이를위해 정부가 성업공사등을 통해 유동화증권에 대해 보증을 서주고 후순위채를 신탁재산에서 편입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금감위에 건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성업공사의 보증은 유동화증권이 부도날 경우 사실상 추가로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것인데다 신탁재산에 신용도가 낮은 후순위채를 편입하기가 쉽지 않아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다.
박호식 기자 ho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