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보험사들은 현재의 금융시장상황등을 고려할때 대국적 차원에서 정부정책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기본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금융당국이 면책조항등에 대한 안전장치도 없이 매수협조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16일 보험감독1국장 주재로 보험사 채권담당자회의를 소집, “보험사들의 하이일드 펀드매입실적을 일일 점검하겠다”며 사실상 하이일드펀드 매입에 대한 창구지도에 나섰다.
이에대해 과거에도 금융당국이 채권이나 주식등에 대해 유선으로 순매수우위를 유지할 것을 요구하는등 창구지도를 수시로 해 왔지만 이번처럼 아예 회의를 소집해 노골적으로 창구지도에 나선 것은 이례적이라며, 당국의 금융정책이 오히려 후퇴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날 회의를 통해 당국은 보험사들이 투신사 수익증권만기분에 대해 환매를 하되 이를 다시 하이일드 펀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되사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대해 보험사 채권담당자들은 리스크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지는 현재의 시장상황에서 자발적으로 하이일드펀드를 매입할 보험사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삼성화재등은 주주 및 사외이사들이 책임을 묻겠다고 하면 입장이 곤란하다며 차라리 공문을 통해서 요구하면 면책이라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며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양우 기자 s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