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투신운용이 지난해말 채권시가평가펀드를 설정한 이후 올해들어 한국투신, 조흥투신운용, 삼성투신운용등 시가평가펀드를 설정하는 투신사가 증가하고 있다. 투신사들은 내년 7월 채권시가평가가 전면적으로 도입될 것에 대비해 시가평가 펀드 운용 노하우를 익히고 펀드운용 결과를 축적, 판매에 활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펀드설정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투신사들은 시가평가 펀드 운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증권업협회의 채권 기준수익률이 시장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펀드운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우선 최근 새로운 투자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국공채와 지방채, ABS의 경우 분류기준이 모호해 이 채권을 펀드에 편입할 경우 펀드의 기준가격 산출이 어렵다. 이와함께 채권들에 대한 기준수익률이 세분화되지 못해 기준수익률이 실세금리와 괴리가 발생하는 것도 문제다. 예를들어 시장 유통수익률이 7.8%인 예보채의 경우 기준수익률이 9%로 제시돼 투신사들은 예보채를 편입하자마자 평가손이 난 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투자자들이 중도환매를 요청할 경우 기준수익률을 반영한 수익률로 환매에 응하면 결국 남아있는 투자자가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 현재 금감원은 투신사에 투자위원회를 두고 편입하는 협회가 제공하는 기준수익률이 시장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채권의 스프레드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또한 투신사들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할 여지가 많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호식 기자 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