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 /사진제공 = 태영건설
태영건설 채권단은 태영 측에 추가자금 4천억원 지원,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외담대) 미상환분 조기상환 등을 결정하는 등 자금투입을 늘리고 있지만, 불안정한 시장 상황이 발목을 잡으며 순조로운 워크아웃에 먹구름이 끼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23일, 산업은행과 5대 은행 등이 금리 연 4.6%, 대출 기한 5월 30일까지 4천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안, 태영건설에 4천억원 규모의 신규 보증서를 발급하는 안, 태영건설이 외담대 미상환분 451억원을 상환하는 안이 가결됐다.
산은은 "모든 의안이 가결됨에 따라 기업개선계획 수립까지 부족 자금 대응 및 영업활동 지원으로 태영건설의 원활한 경영정상화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며 "외담대 상환에 따른 한도 내 회전 운용으로 협력사의 애로사항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23일까지 태영건설과 관련한 PF 사업장 59곳 중 10여곳의 대주단이 산업은행에 사업장 처리방안을 제출했다. 물론 제출은 통상 마감일에 몰리기 때문에 마감일인 오늘(26일)까지는 추이를 지켜봐야 하지만, 사업장별로 상황이 천차만별인 관계로 처리방안이 제대로 나오기 힘들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현재까지 처리방안을 제출한 곳 중에서는 경·공매 방침을 정한 사업장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채권단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브릿지론 사업장 18개 중 30∼50% 정도, 즉 사업장 10곳 정도가 경·공매를 결정하고 나머지는 사업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26일까지로 정해져 있는 마감 시한을 추가로 연장하지는 않을 방침"이라며 "이날까지 처리방안을 제출하지 않더라도 따로 페널티는 없지만, 정리방안을 늦게 수립할수록 각종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사업장 입장에서도 빠른 제출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제출을 독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