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주 국내외 주요일정(6월29일~7월3일)
2020-06-29 월요일 | 이지훈 기자
-
[채권-오후] 외국인 10선 매수하며 장기물 강세 리드
채권시장은 26일 외국인이 오후에 접어들며 국고10년 선물을 집중 매수하며 장기물 강세를 견인하고 있다.증권사의 국고3년 선물 매도도 꾸준히 이어져 5,900계약 수준까지 순매도하고 있으나 투신, 은행 및 외국인 매수로 보합 수준으로 돌아왔다.장기물 강세로 장단기 스프레가 0.9비피 축소돼 51.3비피로 레인지 하단에 ...
2020-06-26 금요일 | 이지훈 기자
-
5월 교역조건 개선...상품교역조건은 10.1%로 대폭개선, 소득교역조건은 -6.4%로 하락폭 줄어 - 한은
교역조건이 5월들어 개선세를 보였다.지난 달 수출입 교역조건은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고 소득교역조건은 전월에 이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하락폭은 다소 완화된 것이다.한은이 26일 발표한 '2020년 5월 무역...
2020-06-26 금요일 | 이지훈 기자
-
[채권-오전] 단기물 다소 약하나 장기물은 강해
채권시장은 26일 저조한 거래량 속에 단기물은 다소 약하나 장기물은 강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오전 10시 55분 현재 국고3년 선물은 2틱 하락한 112.13, 10년 선물은 10틱 상승한 134.12를 기록했다.코스콤 CHECK(3101)에 따르면, 3년 지표인 국고20-3(23년6월)은 0.8비피 오른 0.823%, 10년 지표인 국고20-4(30년6월)은 ...
2020-06-26 금요일 | 이지훈 기자
-
[채권-개장] 보합 수준 출발...7월 국채발행계획 이후 방향성 탐색
국채시장은 26일 전일에 이어 장기물 중심으로 다소 강하게 출발했지만 다시 보합수준으로 되밀렸다. 우호적으로 해석된 7월 국채발행계획 영향보다는 방향 탐색을 우선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일 이미 장기물이 강세가 이뤄져 급격한 변화는 보이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모처럼만에 1200원...
2020-06-26 금요일 | 이지훈 기자
-
25일 외국은 국고채 4,970억, 통안채 2,099억 순매수
외국인은 채권시장에서 25일 국고채 4,970억원과 통안채 2,099억원을 순매수했다.코스콤 CHECK(3214)에 따르면 외국인은 국고19-7(22년12월) 2,000억원, 국고19-5(24년9월) 1,500억원, 국고19-1(24년3월) 750억원, 국고16-10(22년3월) 500억원, 국고17-7(27년12월) 370억원 등 총 5,176억원을 순매수했다.매도는 국고16-10(...
2020-06-26 금요일 | 이지훈 기자
-
26일 경제부처(기재부, 한은) 주요 일정
▲ 기재부- 홍남기 부총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08:30)- 김용범 기재부 1차관,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08:00)- 김용범 기재부 1차관, 인구정책TF(10:00)- 김용범 기재부 1차관, IGE 국제콘퍼런스(12:00)- 2020년 정부혁신 적극행정 어벤져스 통계청·산림청합동 워크숍 개최(10:00)- 제15차 혁신성장...
2020-06-26 금요일 | 이지훈 기자
-
7월 국고채 발행량, 전월보다 2천억 증가한 13조6천억원을 경쟁입찰 방식 발행 - 기재부
기재부는 7월 중 13.6조원 수준의 국고채를 경쟁입찰 방식으로 발행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지난 6월 발행계획보다 2천억원 증가한 수준이다.6월 30일(화) 매출되는 국고채 3년물 31,000억 원은 “국고01000-2306”으로 통합 발행한다.7월 7일(화) 매출되는 국고채 5년물 27,000억 원 중 16,000억 원은 “국고01500-2503...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국고3년물 3.1조원, 5년물 2.7조원, 10년물 3.3조원, 20년물 1.2조원, 30년물 3.3조원 발행 예정 - 기재부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7월 국고채 13.6조원 수준에서 경쟁입찰방식으로 발행 - 기재부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전문] 전액공급방식 RP 매입 연장 공고(안) - 한은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전액공급방식 RP 매입 7월까지 한 달 연장 - 한은
전액공급방식 RP 매입이 7월까지 한 달 연장해 운영된다.한은은 "25일 공고를 통해 금번 6월말 종료되는 전액공급방식 RP매입(91일물) 조치를 1개월 연장하여 7월에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한국은행은 또 금융회사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되거나 금리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금융시장 불안 발생시엔 비정례 RP매입 등을 ...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전액공급방식 RP 매입...1개월 추가 연장 - 한은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채권-마감] 이 총재 기자회견 발언 이후 장기물 중심 강세...7월 국채발행계획 대기
채권시장은 25일 이주열 한은 총재 기자회견 발언 이후 장기물 중심으로 강해지며 장을 마감했다.이날 오후 5시엔 7월 국채발행계획이 발표된다.국고3년 선물은 1틱 상승한 112.14, 10년 선물은 19틱 상승한 133.93에...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①] 소비자물가 상승률 내년 이후에나 높아져...통화정책 완화기조 유지
수요측면의 물가상승압력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성장세 회복을 위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⑧] 온라인 거래 확대는 물가 하방압력으로 작용
온라인 거래 확대가 물가에는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거래 확대는 비용절감, 가격 투명성 제고 및 기업간 경쟁...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전문]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설명회 모두 발언 - 한은
□ (개최배경 소개) 한국은행은 물가상황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물가안정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연 2회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발간하고 기자간담회를 통해 그 내용을 설명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일환으로 2020년 상반기 우리 경제의 물가 상황과 향후 전망에...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③]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1% 후반 수준 유지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1% 후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단기(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하락햇으나 장기(5...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④] 21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1.1% 예상...올해는 0.3%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0.4%)보다 낮아진 0.3%로 전망됐다.환율 및 농축수산...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⑤] 코로나19 이후에도 저인플레이션 추세 지속될 것
코로나19 이후에도 저인플레이션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추세 인플레이션 방향은 불확실성이 높으나 예비적 저축 유인 증...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⑥] 국제유가하락은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0.9~1.0%p 낮춰
최근 국제유가 하락은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월 대비 0.9~1.0%p 정도 낮춘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국제유가가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한은...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⑦] 코로나19 봉쇄 심할 수록 물가 하락 심해져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한 봉쇄조치가 클 수록 물가 하락이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 국가에서 생산 차질 등에 따른 상방요인보다는 수요 감...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
-
[물가안정목표 점검⑨] 글로벌 공급망 약화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
글로벌 공급망 약화는 생산비용 상승, 자원배분 비효율성 증가 등을 유발하여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공급망은 글로벌 금융위...
2020-06-25 목요일 | 이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