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거래 확대는 비용절감, 가격 투명성 제고 및 기업간 경쟁 심화 등을 통해 물가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오프라인의 가격설정행태에도 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높은 IT기술 보급 등으로 온라인 거래가 빠른 증가세를 보였으며 주요국 대비로도 온라인 소매거래 비중이 높은 수준으로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경제활동 유인이 커짐에 따라 온라인 거래 확대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멤버스社의 마이크로 판매자료를 이용하여 매칭가능한 제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온라인 가격이 오프라인에 비해 낮은 가운데 가격조정도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경쟁이 있는 경우 오프라인 가격이 더 빈번하게 조정되고 지역간 가격의 동질성도 대체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거래 확대가 비용절감, 가격 투명성 제고 및 경쟁 심화 등을 통해 기업의 가격설정행태를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물가동학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온라인 거래 확대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고 가격조정이 빈번한 온라인 구매가 늘어나는 효과를 통해 물가에 하방압력을 주고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과의 경쟁은 오프라인 가격의 신축성도 높여 물가의 거시충격에 대한 민감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물가의 거시충격에 대한 반응은 온라인 경쟁 외에도 경기상황, 인플레이션 수준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물가안정목표 점검⑧] 온라인 거래 확대는 물가 하방압력으로 작용](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62509485604380c7303b8f3d175193134222.jpg&nmt=18)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