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이 25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단기(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하락햇으나 장기(5년 앞) 기대인플레이션은 이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단기 기대의 경우 최근의 물가흐름을 반영하여 일반인 및 전문가그룹(Consensus Economics社)의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모두 하락했다"면서 "하지만 전문가그룹의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1%대 후반 수준을 지속했다"고 밝혔다.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의 응답분포를 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향후 물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확실성이 증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인플레이션 수준에 대해 “모르겠음”으로 응답한 비중이 커지고 응답자간 불일치 정도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물가안정목표 점검③]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1% 후반 수준 유지](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62508174808402c7303b8f3d175193134222.jpg&nmt=18)
5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월 대비 하락(-1.8%p)에 대한 기여를 보면, 석유류가격 하락과 금년중 시행된 정부정책이 -1.6%p, 대면접촉 서비스물가 둔화가 -0.2%p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안정목표 점검③]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1% 후반 수준 유지](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62508183906861c7303b8f3d175193134222.jpg&nmt=18)
식료품·에너지제외, 농산물·석유류제외 등 근원물가지표는 금년초 0%대 후반에서 4~5월중 0%대 초·중반으로 둔화됐다.
정부정책의 영향을 추가로 제외하는 관리물가제외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제외) 상승률은 1%대 중반에서 0%대 중·후반으로 낮아졌으며, 경기민감물가 상승률의 경우 0%대 중반 수준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조적 물가 오름세 둔화에는 복지정책 강화 등 정부정책의 영향과 대면접촉 서비스물가 상승률 둔화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대면접촉 서비스물가 둔화는 경기민감물가에 상대적으로 크게 반영됐다.
![[물가안정목표 점검③]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1% 후반 수준 유지](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62508192008221c7303b8f3d175193134222.jpg&nmt=18)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