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코로나 위기로 인한 불평등 확대돼 본격적 경제회복을 가로막는 요인 될 듯"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
-
[물가안정목표 점검 ⑤] 기조적 물가흐름 - 3/4분기 이후 상승 추세.. 1%내외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경기민감물가 등 기조적 물가지표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상반기중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었다가 3/4분기 이후 점차 높아져 최근에는 1% 내외 수준을 기록했다. 한...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
-
[물가안정목표 점검 ⑥]소비자 물가 변동요인 - 국제유가 및 서비스물가 오름세 둔화 영향으로 낮은 오름세... 0.5% 상승
소비자물가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0%대 중반의 낮은 오름세를 나타냈다.한은은 농축수산물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국제유가가 크게 하락하고 서비스물가 오름세가 상당폭 둔화된 데 주로 기인했다고 분석...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
-
[물가안정목표 점검 ③] 향후 물가 여건 - 완만한 상승세 전망
향후 국제유가는 세계경제 회복과 OPEC+ 생산량 조절 등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낼 전망이다.한은은 글로벌 수요 회복 등으로 기타 원자재가격도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국내경기는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
-
[물가안정목표 점검 ⑦] 최근물가 여건 - 해외,국내,기타여건
세계경제 성장세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크게 위축되었으나 하반기 들어서는 주요국의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면서 부진이 다소 완화됐다.수입물가의 경우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원유 수입물가는 하락폭이...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
-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연준의 '정중동'...도비시한 면모 강조했으나 호키시한 요소도 내포
미국 연준이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회의에서 정책금리나 자산매입 규모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16일 기준금리(FFR)를 제로수준(0~0.25%), 초과지준부리(IOER)를 0.1%, 역레포금리...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외환-마감] 원·달러 환율 0.7원 내린 1093.3원 마감
원·달러 환율이 하락 마감했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0.7원 내린 1093.3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0-12-17 목요일 | 홍승빈 기자
-
연준 자산매입 속도조절은 22년 하반기..선제적 금리인상 우려 불식하며 주식에 우호적 환경 지속 - 메리츠證
메리츠증권은 17일 "연준의 자산매입 속도조절은 2022년 하반기가 유력하다"고 전망했다. 이승훈 연구원은 "FOMC는 자산매입에 대해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목표수렴에 '상당한 진전'(further substantial progress)이 있기 전까지는 현행 속도를 유지할 것임을 천명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의장은 완전...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RP7일물 16조 응찰해 16조 낙찰 - 한은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채권-오후] 외인 매도로 하락폭 확대
오후 채권시장은 지속적인 외국인 매도로 하락폭을 확대하고 있다. 오후 1시 55분 현재 외국인은 3년 국채선물 10,782계약 10년 국채선물은 5,293계약을 순매도했다.현재 3년 국채선물은 6틱 하락한 111.39, 10년 국채선물은 38틱 하락한 129.73을 기록중이다코스콤 CHECK(3101)에 따르면 3년 지표인 국고20-8(23년12월)은 ...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
-
정부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과 활력 복원...선도형 경제로 대전환할 것"
정부가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과 활력 복원, 그리고 선도형 경제로의 대전환을 선포했다. 정부는 27일 '2021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경제·방역간 균형을 도모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우선 중앙재정은 내년 상반기에 역대 최고수준으로 조기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62%에...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표] 2021년 한국판 뉴딜 실행계획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확장적 거시경제정책 유지하고 통화정책도 완화기조 유지 - 정부 2021년 경제정책방향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중앙재정 상반기에 역대 최고수준 조기집행..지방재정도 조기집행 집중하며 필요시 추경편성 독려 - 경제정책방향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금융정책, 정책금융 495조 공급 등 실물부문 지원 노력 지속 - 경제정책방향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한시적 코로나 대응조치는 확산세 추이 등 보면서 점진적으로 정상화 - 경제정책방향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연초까지 기한 도래하는 회사채·CP 매입은 우선 연장 추진 - 경제정책방향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정부 "올해 소비자물가 0.5%, 내년 1.1% 전망"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정부 "경상수지 흑자 올해 680억달러, 내년 630억달러 전망"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정부 "통관기준 수출 올해 -6.2%, 내년 8.6% 예상"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표] 정부 2020~2021년 경제전망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정부, 2021년 한국경제 성장률 3.2%·소비자물가 상승률 1.1% 전망
정부는 내년 한국경제가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17일 '2021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이 -1.1%의 부진을 보인 뒤 내년엔 3% 이상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0.5%에 그...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정부 "올해 성장률 -1.1%, 내년 성장률 3.2% 예상"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표] 한국정부 2020년 310조원(GDP 16%) 규모 지원...간접지원 포함시 GDP 1/3인 570조원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표] 2021년 정부 경제정책 목표
2020-12-17 목요일 | 장태민
-
RP 7일물 매각... 오후 2시부터 10분간 -한은
2020-12-17 목요일 | 강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