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24일 여의도 본원에서 '주식시장 할인율 국제 비교와 코리아 프리미엄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슈브리핑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 한국금융신문(2025.09.24)
이미지 확대보기고위험-저수익 구조에 머물며, 투자자의 불확실성과 기업의 자본비용이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민기·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여의도 본원에서 '주식시장 할인율 국제 비교와 코리아 프리미엄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슈브리핑에서 이 같이 제시했다.
두 연구위원은 한국 주식시장의 구조적 저 PBR(주가순자산비율)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주식시장 할인율을 추정했다.
할인율은 기업 내재가치 산출의 핵심 변수로, 투자자 관점에서 요구수익률이자 기대수익률이며, 기업 관점에서 자기자본의 조달 비용을 뜻한다.
분석에 따르면, 2006~2024년 전 세계 59개국 주식시장 자료를 기반으로 코스피200 지수 기준 산출한 할인율을 측정한 결과, 한국 주식시장의 평균 할인율은 11.5%였다.
분석 기간 G7 국가의 평균은 8.8%, 선진국 8.9%, 신흥국 10.9%,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9.3%로 개별 선진국과 비교해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신흥국 내에서도 중상위권에 위치한다.
또, 한국 시장이 장기간 실제 달성한 실현수익률(TSR)은 연평균 7.3%에 불과해 투자자가 요구하는 수익률(할인율)에 현저히 미달한 반면,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에서는 TSR이 요구수익률을 일정 부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난다.
김 연구위원 등은 "국제 비교 결과 한국 주식시장은 장기간에 걸쳐 실현수익률이 요구수익률(할인율)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동기간 자기자본이익률(ROE)도 자본비용(할인율)을 하회했다"며 "결과적으로 한국 주식시장은 고위험-저수익 구조에 머물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2025년 9월 23일까지 올해 코스피 지수 기준 주식시장 할인율은 새 정부 출범(6월) 이후 9.7%로, 2.2%p 감소했다. 할인율의 수준(Level) 자체보다, 변화(Change)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자본연 측은 설명했다.
주식시장 할인율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두 연구위원은 "기업의 수익성, 주주환원, 혁신 투자가 할인율 완화에 효과적이며, 기업지배구조 및 제도적 기반과 투자자의 거래행태도 할인율 국제 격차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이다"며 "한국 상장기업의 할인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과감한 혁신 투자를 통한 수익성, 경쟁력 제고와 배당정책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두 연구위원은 "또한, 형식상의 법/제도가 존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투자자의 신뢰 형성과 할인율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제시했다.
한국 주식시장의 할인율 완화와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을 위한 과제로 두 위원은 "기업은 혁신 역량을 강화하여 수익성을 제고하고, 자본비용 달성 계획·성과의 투명한 소통을 통해 이를 거버넌스에 내재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두 위원은 "정책당국은 정책 일관성을 유지하고, 주주 권익의 실효성 있는 보호를 위해 법·제도의 집행력을 강화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조성하고, 투자자는 단기 매매 중심의 투자행태를 지양하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을 유도하는 책임 있는 관여자로 변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