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석의 단상] “금감위보다 센가?” 금소원 출범에 보험권 술렁](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91216225702379fa40c3505512411124362.jpg&nmt=18)
금소원 설립 명분은 분명하다. DLF와 라임 사태로 훼손된 신뢰를 회복하고 소비자 권익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은 긴장과 불안으로 가득하다. 특히 보험권과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 업계는 이번 변화가 단순 규제 강화가 아니라 업계 자체를 흔들 폭탄으로 받아들인다.
보험설계사는 금융직군 중 가장 소비자 접촉이 많다. 국내 보험판매는 여전히 대면 중심이다. 실제로 비대면 채널인 인터넷·모바일 가입 비중은 생명보험 0.6%, 손해보험 6.2%에 불과해 다른 금융업권과 큰 격차를 보인다. 단순 구조 상품을 제외하면 비대면 활용이 낮아, 설계사와 소속 GA는 민원과 책임 부담 속에 놓여 있다.

보험시장은 여전히 보험사 및 법인보험대리점(GA) 소속 설계사를 통한 대면 모집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보험상품은 복잡한 약관과 특약으로 구성돼 소비자가 완벽히 이해하기 어렵다. 녹취와 전자서명 절차를 거치더라도, 민원 단계에서 ‘이해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면 판매자는 사실상 방어 수단이 제한된다. 금소원 출범 이후 기준이 강화되면 GA 설계사와 본사는 상시적인 법적·제도적 칼날 위에 놓이게 된다.
올 6월 이후 보험사 민원이 급증하면서 일부 대형사는 연초 대비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응 인력은 충분하지 않아 현장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GA가 민원의 직격타를 맞을 가능성도 크다. 한 건의 민원이 조직 전체를 흔들 수 있다는 불안감이 업계 내부에 퍼지고 있는 현실이다.
GA 업계는 완전판매 노력이 필요하지만, 설계사 개별 영업행위를 일일이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시스템을 갖춘 5000명 이상 대형 GA조차 실시간 관리에는 한계가 있다. 한 명의 실수가 본사 전체로 전이되는 위협 속에서, 업계 내부에서는 “민원 리스크가 큰 상품은 아예 팔지 말자”는 방어적 판매 기조가 퍼지고 있다.
민원 접근성과 감독 권한 강화는 블랙컨슈머 악용 가능성도 키운다. 실제 GA 설계사들은 “한 건의 민원이 회사 전체를 흔들 수 있고, 약관을 다 설명했어도 ‘몰랐다’ 한마디면 모든 것이 끝난다”고 전한다.

보험 분쟁 40%가 모집 관련이며, 절반 가량은 모집인이 가입자에게 허위·과장 설명을 한 사례였다.
악성 민원은 조사, 과징금, 영업정지 등 강도 높은 징벌적 제재로 이어질 수 있다. 정상적 영업조차 민원 공포에 잠식되며, 금융권과 설계사들은 삼중 압박을 경험한다. 보험사와 GA는 감독당국 규제, 소비자 민원, 보험사 책임 전가라는 삼중 압박 속에 놓이게 된다.
최근 연이은 분급 유도, 수수료 정보 공개, 상품 비교·설명의무 강화와 금소원 출범이 맞물리면서 GA 업계 부담은 극대화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공개적 불만 표출은 어렵지만, 내부 긴장과 불안은 최고조”라고 전한다.
강력한 제재를 강조할수록 현장은 방어적 판매와 상품 위축으로 반응한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선택권은 줄고, 보장 공백과 금융 접근성 악화라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보호’라는 이름의 규제가 오히려 소비자 피해를 확대하는 아이러니가 현실화되는 순간이다.
해외 사례가 시사점을 준다. 영국 금융행위감독청(FCA)은 ‘핵심 정보 요약’과 ‘Consumer Duty’를 통해 사전 예방과 증거 기반 설명을 강화했고, 호주 증권투자위원회(ASIC)는 고난도 상품에 대한 적합성 심사와 디지털 이해도 확인 절차를 도입했다. 공통점은 후속 제재가 아니라 사전 예방에 방점을 둔 것이다. 자율시정 인센티브와 비례적 제재 원칙을 병행해 시장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도 주목된다.
물론 해외 사례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해외는 판매하는 보험 상품 구조가 단순한 반면, 국내는 상품 구조가 복잡한 장기보장성 보험이 대부분이다. 100개가 넘는 특약을 소비자에게 모두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내 보험 영업 현장과 현실을 고려한 ‘한국형 금소원’ 설계가 요구되는 이유다.
금소원 출범은 금융시장에 새로운 질서를 세울 기회이자, 동시에 위험 요소다. 제도가 단순 징벌 기구로 전락할지, 예방과 신뢰 회복을 이끄는 촉매가 될지는 설계와 운영 방식에 달려 있다. 금융당국과 업계가 협력해 균형적 제도 설계, 표준화된 설명과 증거 기록, 신속한 자율시정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소비자 보호가 덫이 될지, 신뢰 회복의 토대가 될지는 결국 실사구시(實事求是)에 달려 있다. 현실을 외면한 규제는 시장을 옥죄고, 현실을 직시한 제도는 신뢰를 키운다. 금소원은 금융권과 소비자 모두에게 시험대가 될 것이다.
김의석 한국금융신문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