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경기 불황에도 녹지 않는 메로나…리브랜딩 나선 빙그레

손원태 기자

tellme@

기사입력 : 2024-12-05 16:34

빙그레, 여름철 성수기 특수에 또 '최대 실적'
해태아이스 인수에 '식물성 메로나' 수출 효과
친환경 전기차 전환, 독립유공 지원사업 앞장
지주회사 세우고, 자사주 소각해 주가 개선도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호주 코스트코에 입점한 빙그레 식물성 메로나. /사진=빙그레

호주 코스트코에 입점한 빙그레 식물성 메로나. /사진=빙그레

[한국금융신문 손원태 기자] 빙그레가 여름철 성수기 아이스크림 특수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2년 연속 갈아치울 전망이다. 동종 유업체나 식품기업들이 저성장, 저출생 기조에 휘청이면서 실적이 주춤해지는 것과 비교하면 도드라지는 성과다. 빙그레는 여세를 몰아 신제품과 신사업, 지주사 설립 등을 추진하면서 사업 재편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5일 빙그레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4342억 원) 대비 6.8% 상승한 4638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1.1% 하락한 647억 원을 냈다. 이익 감소는 메로나, 붕어싸만코, 바나나맛우유 등 인기 제품들의 해외 판매망을 넓히는 과정에서 마케팅 활동에 따른 판관비 증가 때문이다. 올 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 1조1721억 원, 영업이익 1306억 원으로 모두 5.0%씩 올랐다. 앞서 지난해에도 3분기 누적 매출이 전년 대비 10.5% 오르며 1조1165억 원으로 최대 실적을 썼는데, 1년 만에 이를 갈아치웠다.

저성장, 저출생 기조로 국내 식품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빙그레는 외형과 내실을 모두 잡은 셈이다. 빙그레의 호실적 배경에는 지난 2020년 빙과업계 3위 주자였던 해태아이스 인수 후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높여온 점과 해외로 마케팅을 확대하면서 수출 비중을 늘려온 데에 기인한다. 해태아이스는 부라보콘과 누가바, 바밤바, 쌍쌍바 등 스테디셀러 제품들을 다수 보유한 아이스크림 업체다. 빙그레는 빙과업계 2위 규모로, 메로나와 투게더, 요맘때 그리고 붕어싸만코 등 다수 아이스크림을 생산하고 있다.

식품산업통계정보(FIS) 소매점 판매통계 기준 지난해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 규모는 1조4274억 원이다. 그중 롯데웰푸드가 5760억 원(40.56%)으로 1위, 빙그레가 4049억 원(28.37%)으로 2위, 해태아이스가 2134억 원(14.95%)으로 3위였다. 이후 빙그레가 해태아이스를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업계 1위 주자로 올랐지만, 롯데웰푸드와는 채 3%p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런 가운데, 롯데웰푸드가 최근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열풍에 힘입어 맛과 건강을 겸비한 ‘0(Zero)’ 칼로리 아이스크림을 잇달아 출시하면서 마케팅 경쟁은 한층 치열해졌다.

실제로 빙그레는 연초 붕어싸만코 딸기맛을 시작으로, 요맘때 출시 20주년을 맞아 허니아몬드맛과 리치피치, 귀리 등의 식물성 원료로 만든 메로나, 슈퍼콘 화이트 헤이즐넛 초코, 빵또아 고구마케이크 등을 잇달아 시장에 내놨다. 자회사인 해태아이스 역시 누가바 출시 50주년을 기념한 누가바이트 미니, 사모나와 바밤바를 결합한 사모나바밤바, 쌍쌍바에 카라멜을 입힌 쌍쌍바 카라멜, 시원시원 우유팥바 등 신제품을 선보였다.

해외를 겨냥해서는 식물성 메로나를 중심으로 유럽과 미국, 호주 시장을 두드렸다. 바나나맛우유로는 중국 내 편의점과 코스트코 유통 채널에 입점했고, 붕어싸만코는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으로 판매망을 넓혔다. 빙그레는 현재 미국과 중국, 베트남에 해외법인을 뒀다. 30여 개 국가에 유제품과 아이스크림 등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 1년간 1억 달러 이상의 수출을 달성, 한국무역협회로부터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빙그레는 3분기까지 국내 매출이 8754억 원으로, 전년(8414억 원)보다 4.0% 상승했다. 수출에서는 전년(1043억 원) 대비 15.7% 뛴 1207억 원을 벌어들였다. 국내에서는 여름철 성수기 아이스크림 특수를 입었고, 해외에서는 인기 제품들을 중심으로 공략한 점이 주효했다. 이를 토대로 단백질 브랜드 ‘더: 단백’과 건강기능식품 ‘tft’, 떠먹는 발효유 ‘요플레’, 식물성 음료 ‘바유’ 등에서도 신제품을 확대하거나 리뉴얼에 나서는 등 사업 다변화에 힘을 줬다.
빙그레 냉동탑차. /사진=빙그레

빙그레 냉동탑차. /사진=빙그레

빙그레는 탄탄한 실적과 함께 그룹 리브랜딩에도 적극적이다.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빙과 제품을 운송하는 영업용 냉동 탑차 230여 대를 친환경 전기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한, 김호연 회장의 배우자인 김미 여사가 백범 김구 선생 손녀인 만큼 독립유공자 지원사업 등의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다. 독립운동가, 독립유공자 후손들에 장학금을 전달하거나 후손이 없는 이봉창 의사의 추모식을 열고,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김구재단도 운영하고 있다.
나아가 지난달 22일 이사회에서 빙그레는 인적분할을 추진하기로 결의했다. 내년 5월 출범을 목표로, 지주회사 빙그레홀딩스와 사업회사 빙그레로 나누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주회사인 빙그레홀딩스는 신사업 투자와 자회사 관리 등을 맡는다. 사업회사인 빙그레는 사업경쟁력과 성장잠재력 등 지속 성장을 추구한다. 빙그레홀딩스가 빙그레와 해태아이스 등을 자회사 거느리는 구조다. 빙그레는 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100만9440주(발행주식의 10.25%)를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빙그레 측은 “식물성 메로나를 필두로 글로벌 판매망을 넓혀 갈 것이며, 주요 제품의 할랄(HALAL) 인증을 취득해 아시아나 중동 지역으로 확장해 나가겠다”며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다양한 식품 박람회와 마케팅에도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라고 했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대내외에서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은 KT&G
국어문화원연합회, 578돌 한글날 맞이 '재미있는 우리말 가게 이름 찾기' 공모전 열어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FT도서

더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