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화경닫기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5559억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015년 이후 8년간 흑자를 기록했지만 △이자비용 증가 △대손충당금 적립 등의 영향으로 9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오 회장은 “작년에 손익에 가장 영향을 미친 것은 이자 비용과 충당금 전입액이 늘어난 것”이라며 “이 두 부문만 합쳐도 3조 7000억원 정도의 비용이 증가하는 효과가 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고금리 수신 유치에 따라 이자비용이 전년 대비 2조4000억원이 증가한 데 반해, 이자수익은 1조1000억원이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이자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여기에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2022년 2조6000억원에서 2023년 3조9000억원으로 1조 넘게 증가해 실적 악화를 이끌었다.
충당금 전입액이 급등한 건 연체율이 높아진 영향이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 업권 연체율은 6.55%로 전년 동기(3.41%) 보다 3.14%p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이 5.01%로 전년 동기 대비 0.27%p 소폭 오른 반면 기업대출 연체율이 같은 기간 5.12%p 오른 8.02%를 나타내며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연체율이 오른건 시장 경기 침체 때문이다. 오 회장은 “저축은행이 경기침체 시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인 서민하고 중소상공인을 주 거래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경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연체율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여신 자산이 축소된 것도 연체율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의견을 더했다. 그는 “연체율이 오르는건 연체 자산이 늘어난 것 외에도 연체율 계산에서 분모에 해당하는 여신 전체 자산이 줄어들며 연체율이 더 많이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저희가 여러 가지를 볼 때 크게 걱정할 정도의 연체율은 아니라고 말씀 드리고 싶다”며 “저축은행 사태가 한참 일어나고 있을 때 연체율이 25%까지 올라갔었고 평상시에도 두 자릿수 정도의 연체율을 유지하는 경우도 상당 부분 있었다”고 강조했다.
경영안정성 지표는 꾸준히 증가하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은 14.35%로 전년 동기 보다 1.2%p 상승했다. 역대 최고 수준이다.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충당금을 많이 쌓은 덕분에 법정 기준 BIS비율(자산 1조원 이상 8%, 1조원 미만 7%) 대비 2배 수준을 유지했다.
자기자본도 과거 저축은행 사태에 따른 구조조정 이후로 3배 증가했다. 유동성비율은 192.07%,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3.89%를 나타나며 법정기준 100%보다 각각 92.07%p, 13.89%p 초과한 상태를 보였다. 모든 저축은행들이 법정기준을 충분히 초과해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오 회장은 올해 저축은행 업계에 대해 단기간의 극복은 어렵지만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저축은행 사업이 부동산 경기와 맞물려 있는 부분이 많아서 금방 좋아질 것 같지는 않다”며 “다만 금년도 미국이나 한국의 금리 하락 가능성이 높아 시장 전체 환경을 조성하는데 저축은행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어 “건전성 부문도 당국과 소통해 안정화 펀드 등으로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런 것들이 모두 된다면 2024년도는 통계로 볼때 상황이 더 나빠질 것 같지 않다”고 전했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