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이미지투데이
특히 건산연은 보고서를 통해 ESG 중 거버넌스는 '이해관계자 모두를 위한 올바른 의사결정 체계'로 환경(E)과 S(사회)가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와 업계의 실천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18일 건산연이 발간한 '건설업 ESG 확산과 기업 거버넌스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8만7239개(2022년 기준) 건설 기업 중 지속가능보고서를 내는 곳은 21개로 0.002%에 불과했다.
이들 21개 기업들은 대부분 시공능력평가 40위 이내 기업들로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HDC현대산업개발 ▲DL건설 ▲한화건설 ▲코오롱글로벌 ▲삼성엔지니어링 ▲KCC건설 ▲한라 ▲쌍용건설 ▲IS동서 ▲SGC이테크건설 ▲태왕이앤시 ▲대상건설 등이다. 건설업 다수를 차지하는 중견 및 중소기업의 ESG 활동은 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산연은 “건설업은 산업 특성상 ESG의 중요성이 높으나 건설업의 이미지는 ESG와는 거리가 먼 상황을 보인다”며 “최근 여러 차례 발생한 안전사고 등으로 인해 건설업 ESG경영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 ESG경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경우 기업과 투자자 등에게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건산연은 ESG 관련 가이드라인과 건설업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건설업 거버넌스의 대응 방향을 ▲ESG 경영 추진 및 성과공유 ▲기업지배구조 개선 ▲준법·윤리경영 ▲리스크 관리로 세분화해 제시했다. 건산연은 “거버넌스는 ESG경영의 근간이며 수주산업이라는 건설의 산업 특성상 거버넌스 확립은 필수다”라며 “건설업이 직면한 부정적 이미지 해결의 주요 열쇠로서 거버넌스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지혜 연구위원은 “거버넌스에서 추구하는 가치는 기업의 중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라 할 수 있다”며 “ESG경영은 건설업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