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지난해 10월 불거진 레고랜드발 부동산PF 부실우려 사태까지 겹치며 위기가 가중됐다. 이 같은 위기상황에 1963년생 토끼띠 건설 CEO들의 활약에 귀추가 주목된다. 백정완닫기

백정완 사장은 올해 시무식 신년사에서 올해를 2012~2013년 당시 ‘리먼 사태’에 준하는 위기로 전망하며, 부동산PF 부실 우려를 비롯한 자금시장 경색에 대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임직원들에게 전했다.
백정완 사장은 “올해 시장의 분위기는 제2의 리먼 사태에 준하는 심각한 위기를 예고하고 있어 전례 없는 어려운 사업 환경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
백 사장은 회사의 생존과 영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자금시장 경색 리스크를 지혜롭게 넘어갈 수 있는 유동성 리스크 관리 ▲회사가 추진해 온 리스크 관리 역량을 활용한 양질의 해외 PJ 수주로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운영 ▲새로운 50년을 위한 신성장 동력 발굴 준비 철저 등 세 가지 사항을 임직원들에 당부했다.
뿐만 아니라 백정완 사장은 지난해 말, 총 13명의 경영 임원으로 구성된 사내 ESG 위원회를 발족하고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백 사장은 “ESG 경영의 핵심은 ESG 리스크를 발견해 대응하는 한편,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지속가능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라면서, “대우건설은 앞서 공표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아래 풍력, 태양광, 수소, CCUS 등 관련 신재생에너지 사업 및 여러 안건에 대해 앞으로도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 대표 취임 이후 효성중공업은 자사 주거브랜드 ‘해링턴플레이스’의 꾸준한 공급과 더불어, 효성그룹의 친환경 프로젝트에도 힘을 보태며 사업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한국동서발전과 수소엔진 발전기 실증 및 사업 개발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비전에 발을 맞추기도 했다.
효성중공업과 한국동서발전이 개발할 재생에너지 융복합형 발전 모델은 동일 사업비 규모의 수소연료전지에 비해 최대 발전량이 4배나 높아지고, 1.3배의 탄소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