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마치고 백브리핑에서 최근 자금경색 상황이 통화정책 전제조건에 미칠 영향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가 은행 중심으로 한 자금순환 관해서는 큰 문제가 있는 게 아니고, CP(기업어음) 시장 중심으로 문제가 있어서 한 미시적(마이크로) 조치로, 거시 통화정책 전제조건이 바뀌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날 추경호닫기

이 총재는 "(발표문 나온대로) 한은이 적격담보대상 증권에 국채 이외 공공기관채, 은행채를 포함하는 방안을 금주 금통위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앞서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로 은행채 등도 적격담보증권으로 인정했다가 지난 2021년 3월 말 한시적 조치를 종료한 바 있다.
다만 이 외 추가적인 조치에 대해서는 이번 방안이 시장에 미칠 영향을 비롯,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시사했다.
최근 금투업계에서는 적격 회사채를 담보로 제공하는 경우 한은으로부터 차입할 수 있는 '금융안정특별제도' 재도입 등에 대한 요청을 전달한 바 있다.
이 총재는 "기업유동성지원기구(SPV)나 다른 방안은 이번 대책에서 빠져 있는데, 앞으로 이번 방안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필요하면 금통위에서 다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왼쪽부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최상목 경제수석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2.10.23)
이미지 확대보기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