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은 2022년 1분기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 기준 매출 4조145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1715억원, 당기순이익 1831억원을 냈다.
매출은 국내 플랜트 대형 현장(현대케미컬 HPC공장)과 주택 현장 준공에도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14.6%, 당기순이익은 5.8% 감소했다.
매출을 큰 차이가 없는데 영업이익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현대건설은 “올해 대형 현장의 매출은 하반기에 집중돼 있다”며 “2분기 이후에는 사우디 마르잔 공사, 아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공사, 파나마 메트로 공사 등 해외 대형 현장 공정이 본격화됨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30.4% 증가했다. 국내와 해외를 포함해 총 8조943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연간 수주 목표 28조3700억원의 31.5%를 달성한 금액이다.
국내에서는 용인 죽전 데이터 센터 공사, 하나드림타운그룹 헤드쿼터 신축공사, 포항 환호공원사업 공동주택 신축공사 등 사업을 수주했다. 해외 공사는 싱가포르 오피스타워 2단계 등이 있다.
수주잔고는 전년 말 대비 5.5% 증가한 83조781억원이다. 약 4.2년치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
올해에도 현대건설은 풍부한 국내·외 공사 수행경험과 기술 노하우로 기술적·지역별 경쟁력 우위 분야에 집중하고 도시정비사업, 에너지 전환 신사업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을 선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현대건설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이 5조1018억원이며 순현금도 3조1571억원에 달한다.
지속적인 재무구조 개선으로 지불능력인 유동비율은 183.2%, 부채비율은 110.7%를 기록했다.
신용등급도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등급을 획득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한 기업경영으로 지속가능성장을 도모하고 SMR(소형모듈원전), UAM(도심교통항공수단), 스마트시티 등 신사업 추진에도 총력을 기울여 미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