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국어문화원연합회 / 그래픽=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이 연구는 2021년 7월 23일부터 8월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큰 변화는 민원 서식 부문으로, 2010년 170억 원이던 시간 비용이 2021년에는 11.5배가 늘어난 1952억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공공언어의 범위가 확대되고 디지털 매체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국민이 공공언어에 접근할 기회가 많아져 생긴 시간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자료=국어문화원연합회
국민은 어려운 공공언어를 경험할 때 평균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언어에 대한 난이도에서는 32%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답했지만, 바꿨으면 하는 항목에서는 낮선 한자어 등 어려운 단어가 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외국어나 외래어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37%)이 뒤를 이어서 공공언어를 사용함에 있어 국민과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언어 사용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했으면 하는 분야는 증권이나 보험 등의 약관과 계약서 등이 38%로 가장 높았고, 법령이나 판결문(33%), 신문이나 방송언어(24%), 안내판, 표지판(24%), 민원서류양식(24%)등이 그 뒤를 이었다.
자료=국어문화원연합회
공공언어를 국민들 눈높이에 맞춰 고쳐야 하는 이유는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어려운 용어로 인한 불필요한 심리적 스트레스나 세대 간, 계층 간 정보습득의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더욱 필요하다. 또한 공공언어의 개선은 쉬운 이해를 통해 정부 업무의 처리 시간도 단축 할 수 있어 효율성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자료=국어문화원연합회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언어가 공익적 가치를 높이려면 공공언어의 종류마다 공익적 기능을 발굴하고 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꾸준한 개선노력을 펼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