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쉬운 우리말 쉬운금융] 신조어, 이제는 쉬운 우리말로 먼저 사용하자!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매월 외국어 새말 대체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들이 어려운 외래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
2022-06-27 월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쉬운 금융] 금융용어는 너무 길지 않고 누구나 알 수 있는 한글로
국립국어원에서는 최근 3년간 공공기관에서 사용한 정책명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외국어나 외래어가 포함되지 않은 정책명, 외국 문자 없이 한글로만 표기된 정책명을 알기 쉽다고 응답했습니다....
2022-05-30 월요일 | 허과현 기자
-
[Editor’s Q&A]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어떻게 계산하나요?
Q1 : 국내주식 투자 시 적용되는 세금은 무엇이 있나요?일반적으로 국내주식에 투자할 경우에는 3가지 세금을 내야 합니다. 먼저 주식에 투자한 후 배당을 받은 경우라면 배당소득세 15.4%를 내야 합니다. 이 세금은...
2022-04-05 화요일 | 허과현 기자
-
[Editor’s Q&A] 증여세 vs 상속세 뭐가 더 유리한가요?
증여와 상속은 어떻게 다른가요?남의 재산을 무상으로 물려받는다는 점에서는 증여와 상속은 같습니다. 다만, 상속은 재산을 가진 사람이 사망했을 때 물려받는 것이고, 그 외의 경우는 모두 증여라고 보면 됩니다. ...
2022-03-08 화요일 | 허과현 기자
-
[Editor’s Q&A] 마이데이터, 어떻게 이용하나요?
Q1 : 마이데이터가 무엇인가요?그동안 소비자들은 금융회사와 거래를 하면서도 내 정보를 본인이 마음대로 이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필요할 때 그저 내 정보를 확인하는 정도였지요.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나의 자산...
2022-02-09 수요일 | 허과현 기자
-
[Editor’s Q&A] 우대금리 금융상품 조심하세요!
Q1 : 우대금리 금융상품이 뭔가요?우대금리 금융상품은 은행들이 일반정기예금이나 적금보다 금리를 더 높여서 지급하는 특판상품을 말합니다. 이는 기본금리에 일정 조건을 달성하면 조건에 따라 추가로 금리를 더 ...
2022-01-04 화요일 | 허과현 기자
-
[Editor’s Q&A] 자동차보험 내년부터 어떻게 바뀌나?
Q1, 부부특약 가입한 배우자, 무사고 혜택 받을 수 있나요?최근 부부특약에 가입한 무사고 운전경력 배우자의 자동차보험 별도 가입이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이혼을 했거나, 배우자의 사망, 장거리 직장 발령...
2021-12-01 수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쓰기] ‘롱 코비드’는 ‘코로나 감염 후유증’이라고 쓰세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 이하 국어원)은 ‘롱 코비드(long Covid)’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코로나 감염 후유증’을 선정했다고 밝혔다.‘롱 코비드’는 코로나19 감염...
2021-11-04 목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쓰기] 말이 쉬워야 ‘금융 소비자 보호’도 쉬워
올해 한글날에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우리말 사용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는 토론회가 개최됐다. 한국금융신문이 국회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실과 함께 개최한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에서는 그동안...
2021-11-01 월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쓰기] ‘긱 워커’는 ‘초단기 노동자’를 말해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외래어 ‘긱 워커’를 ‘초단기 노동자’라고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여 선정했다.‘긱 워커’는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를 가...
2021-10-28 목요일 | 허과현 기자
-
[Editor’s Q&A] 사회초년생·은퇴 준비자 연금저축 활용법
Q1 ; 사회초년생들은 연금저축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요?연금저축은 기본적으로 55세 이후부터 연금수령 시까지 장기 운용이 가능한 자금으로만 투자해야 합니다. 다른 저축과는 달리 불입금에 대해 세액공제 혜택이...
2021-10-27 수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쓰기] ‘비즈매칭’은 쉬운 ‘사업자 연계’로 쓰세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 이하 국어원)은 ‘비즈 매칭’을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사업자 연계’를 선정했다. ‘비즈 매칭’은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개인과 기업, ...
2021-10-21 목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쓰기] ‘케어 푸드’는 ‘돌봄 음식’이라고 써 주세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10월 첫 쉬운 우리말로 ‘케어 푸드’를 ‘돌봄식, 돌봄 음식’이라고 선정했다.‘케어 푸드’는 노인이나 환자 등 특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한 이들에게 각기 필요한 영양분이 들어가...
2021-10-12 화요일 | 허과현 기자
-
어려운 공공언어 바꾸면 연간 3375억 원 가치 생겨
(사)국어문화원연합회(회장 김미형)가 공공언어 개선의 경제적 효과를 발표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의뢰해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공공언어 개선의 연간 경제적 효과는 3375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이 연구는...
2021-10-12 화요일 | 허과현 기자
-
[쉬운 우리말 쓰기] ‘마이너스 옵션’이 뭐예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추석 연휴가 낀 9월에도 코로나 19로 바뀐 생활 용어와 한여름 더위를 달래줄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을 이어갔다. 올해는 큰 더위나 태풍 등 폭염 피해도 없었고, 비 피해도 ...
2021-10-05 화요일 | 허과현 기자